[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올해 상반기 250개가 넘는 주요 대기업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서도 호실적을 거두며 전체 영업이익이 100조원을 돌파했다. 이들 기업의 매출도 100조원 이상 늘면서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18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중 전날까지 올해 반기보고서를 제출한 255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이들의 상반기 매출 총액은 1127조4212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1020조9783억원) 대비 10.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 충격 속에서 실적 감소를 지켜봐야 했던 기업들이 1년 만에 100조원 이상의 매출 성장을 이뤄낸 것이다.
특히 이들 기업의 영업이익은 올해 상반기 105조1318억원을 기록하며 100조원을 넘겼다. 작년 상반기(51조6145조원)보다 수익을 2배 이상으로 불린 것이면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상반기에 비해서도 65% 가량 증가한 수치다.
업종별로 보면 전체 20개 업종 중 16개(80%) 업종의 매출이 증가했다. IT·전기전자 업종이 지난해 상반기 185조5440억원에서 올해 225조7940억원으로 40조2500억원(21.7%) 늘어 증가액이 가장 컸다. 이어 자동차·부품 업종의 매출이 1년 새 28조7749억원(26.3%) 증가해 그 뒤를 이었고, 석유화학(27조9435억원·23.5%), 철강(12조1380억원·24.2%), 상사(7조4876억원·30.6%) 순으로 매출 증가액이 많았다.
이에 비해 증권업은 지난해 상반기 매출이 71조8985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57조4367억원으로 1년 새 14조4618억원(20.1%) 쪼그라들었다. 은행(-11조9248억원)과 조선·기계·설비(-5조1136억원), 보험(-9577억원) 업종도 작년 상반기보다 매출이 많이 줄었다.
영업이익은 석유화학 업종이 가장 많이 늘었다. 조사 기업들이 지난해 상반기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으며 영업손실을 봤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15조9629억원의 영업흑자를 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상반기 6조6894억원과 대비해서도 9조2735억원(138.6%) 많은 수치다.
석유화학 다음으로는 IT·전기전자의 상반기 영업이익이 작년보다 13조1206억원(68.5%) 증가했고, 자동차·부품(5조5859억원·222.1%), 철강(4조5511억원·284.9%), 증권(3조8913억원·156.1%)도 많이 늘었다.
반면 조선·기계·설비(6492억원·81.1%↓), 공기업(1651억원·7%↓), 에너지(784억원·25%↓), 서비스(14억원·0.1%↓) 등 4개 업종은 감소했다.
개별 기업중에서는 삼성전자의 매출이 가장 많이 늘었다. 작년 상반기 108조2913억원에서 올해 129조601억원으로 1년새 20조7688억원(19.2%) 증가했다. 이어 현대자동차(10조5385억원·22.3%), 기아(8조9855억원·34.6%), LG화학(7조4418억원·54.5%), LG전자(7조3647억원·26.7%) 순이었다.
영업이익 역시 삼성전자가 작년 상반기보다 7조3560억원(50.4%) 많은 14조5936억원을 벌어들여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이어 포스코(2조8801억원·329.9%), LG화학(2조7705억원·356.3%), 에쓰오일(2조3718억원·흑자전환), HMM(2조2715억원·1661.7%) 등은 작년 상반기보다 영업이익이 2조원 이상 늘었다.
- 테슬라코리아 지난해 매출 295.9% 증가···외국계, 두자릿수 성장
- 코로나19 이후 대기업 대표 17% 자사주 매입···정의선 회장 1위
- 탈석탄·ESG 통했나···대기업 대기오염물질 1년 만에 30% 감축
- 삼성전자 '국내 특허 1위'···5년여간 약 2만건 등록
- 대기업 내부거래 1년새 15조원↓···"일감몰아주기 규제 효과"
- 코로나19 여파, 지난해 대기업 직원 1만명 줄었다
- 삼성전자, 경영평가 최우수 기업 2년 연속 1위
- '코로나 여파' 500대 기업 44곳 물갈이···IT '약진'·정유 '추락'
- 대기업 부채 1500조 돌파···연내 갚아야 할 빚 780조
- '주식 열풍' 소액주주 4500만명 시대···1년 새 80% 증가
- 대기업 30여 곳, 올해 주총서 女 사외이사 첫 선임
- '스마트폰 사업' 접은 LG전자, 국내 임직원 800명 감소
- HMM 사측, 임금 8% 인상+성과급 500% 최종안 제시
- LG화학, 친환경 소재에 2.6조 통큰 투자···충남 대산에 공장
- HMM 육상노조, 3차 중노위 조정 중지···파업 쟁의권 확보
- 조성욱 공정위원장 "해운사 운임담합 사건, 원칙대로 처리"
- HMM 해원노조도 중노위 조정 실패···사상 첫 파업 위기
- LG전자 가전, 美 바이어로부터 호평
- 대기업 집단 친족 등기임원 531명···2년 전보다 8.5% 증가
- HMM 해원 노조, 파업 찬반투표···단체로 회사 떠나나?
- HMM 해원노조, 파업 가결···25일 단체 사직서 '초강수'
- 해수부, HMM 사태에 '수출입물류 비상대책 TF' 가동
- 삼성·LG, 상반기 글로벌 TV 시장 주도···점유율 50% 육박
- HMM "파업시 5억8천만 달러 손실···노조 열린자세로 협상해달라"
- 삼성 이재용의 '통 큰' 화답···"3년간 240조 투자·4만명 고용"
- 송영길 "HMM 노동자 위한 배려 필요"
- LG전자, 병원용 원격진료 솔루션 출시
- LG전자, 美 뉴욕-英 런던서 Life’s Good 영화 소개
- LG화학, 투명 ABS에 재활용 소재 적용
- 코로나에도 실적 '탄탄'···대기업 12곳, 86분기 연속 흑자
- "대학생도 받아요"···LG전자, 40조 렌털 시장 노린다
- 대기업, 2019년 이후 제재금 2조 육박···규제 리스크 커졌다
- 대기업, 코로나19에도 투자 늘렸다···올해 8조원 이상 확대
- 상장사 감사보수만 올해 3000억 썼다···새 외감법 이후 '껑충'
- 국민연금, 대기업 주총서 임원선임 69번·보수한도 56번 반대
- 자산 2조원 미만 상장사 10곳 중 9곳, 女 사외이사 '0명'
- 대기업 R&D 투자 첫 60조 돌파···삼성전자 22.6조
- 대기업 올해 1분기 매출 791조원···사상 첫 700조 돌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