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지난해 국내 대기업의 부채 규모가 1년 전보다 80조원 가까이 증가하면서 전체 부채 규모가 1500조원을 넘어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의 여파로 연내 상환해야 하는 유동부채가 내년 이후 만기가 도래하는 비유동부채보다 더 큰 폭으로 확대되며 부채의 질이 악화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중 지난해 결산보고서를 제출한 366개 기업의 부채 및 유동부채를 전수 조사한 결과, 지난해 대기업의 부채총액은 1524조5884억원으로 2019년 1446조297억원보다 5.4%(78조5587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자본은 전년보다 3.3%(46조1692억원) 늘었으며, 부채비율은 105.8%를 기록해 전년(103.7%)보다 높아졌다. 2019년 769조5757억원이던 차입금 총액이 지난해 810조8436억원으로 5.4%(41조2679억원)가 늘며 부채가 증가했다.
특히 연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부채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조사 대상 대기업의 지난해 유동부채는 779조7679억원으로 전년(731조3310억원)보다 6.6%(48조4368억원) 증가했다. 상환 기간이 1년 이상인 비유동부채가 1년 새 4.2%(30조1219억원) 늘어난 것과 비교해 유동부채의 증가폭이 커지면서 부채의 질이 나빠졌다는 게 CEO스코어의 설명이다.
유동부채비율도 2019년 52.4%에서 지난해 54.1%로 1.7%포인트 높아져 기업들의 단기 부채 상환 부담이 커졌음을 알 수 있다. 업종별로는 조선·기계·설비의 유동부채비율이 135.1%로 가장 높았고 운송(117%)과 상사(103.9%)업종도 100%를 넘었다.
기업별 유동부채 규모는 삼성전자(75조6044억원), 현대자동차(59조4595억원), 한국전력공사(25조8812억원), 기아(21조976억원), LG전자(20조2075억원), 포스코(16조8550억원) 등의 순으로 컸다.
쿠팡, 쌍용자동차, 쥴릭파마코리아 등 세 곳은 자본잠식 됐다.
- '주식 열풍' 소액주주 4500만명 시대···1년 새 80% 증가
- 대기업 30여 곳, 올해 주총서 女 사외이사 첫 선임
- "유니콘 기업 창업자 절반 'SKY·카이스트' 출신···삼성 20%"
- [코로나 1년] 재계 지형도 바꿨다···셀트리온·네이버 자산 순위 급등
- [코로나 1년] 대기업도 신규 채용 줄였다···순고용인원 6천명↓
- 국민연금, 작년 주식 평가익 58조···삼성전자로만 20조 벌었다
- 대기업 사외이사, '6년 임기 제한'에 84명 짐 싼다
- 대기업 오너家 승진속도 '빨라졌다'···33.8세 임원·42.7세 사장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주식부호 1위'···2위 정몽구·3위 김범수
- 재벌가 '혼맥' 더 늘었다···오너 자녀 간 결혼 비중 50.7%
- 삼성, '지구의 날' 맞아 스마트폰 업·리사이클링 캠페인
- LG전자, '지구의 날' 맞아 환경보호 캠페인 펼쳐
- 삼성전자, '갤럭시 M12' 28일 출시···출고가 19만8천원
- 콘솔부터 PC까지···4K 고주사율 'LG 울트라기어' 모니터
- '코로나 여파' 500대 기업 44곳 물갈이···IT '약진'·정유 '추락'
- 삼성전자, 경영평가 최우수 기업 2년 연속 1위
- 코로나19 여파, 지난해 대기업 직원 1만명 줄었다
- 대기업 내부거래 1년새 15조원↓···"일감몰아주기 규제 효과"
- [특징주] 한국전력, 3분기 전기요금 동결 소식에 하락세
- 삼성전자 '국내 특허 1위'···5년여간 약 2만건 등록
- 코로나19 이후 대기업 대표 17% 자사주 매입···정의선 회장 1위
- 대기업 상반기 영업익 100조 돌파···"코로나19 뚫고 2배 성장"
- 코로나에도 실적 '탄탄'···대기업 12곳, 86분기 연속 흑자
- 대기업, 2019년 이후 제재금 2조 육박···규제 리스크 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