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국내 대기업 오너일가가 입사 후 5년도 되기 전에 임원으로 승진했다. 입사 후 사장단에 오르기까지는 평균 14.1년이 걸린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64개 대기업집단 중 오너일가 부모 및 자녀세대가 함께 경영에 참여하는 43개 그룹을 조사한 결과, 오너일가는 입사 후 임원으로 승진하기까지 평균 4.8년이 소요됐다.
오너일가의 입사 나이는 평균 29세, 임원 승진 나이는 33.8세로 집계됐다. 20대에 입사해 5년이 채 안 돼 임원으로 승진하며 30대 중반을 맞이한 것이다. 또 이들이 사장단에 입성한 나이는 평균 42.7세로, 입사 후 사장단 승진까지는 평균 14.1년이었다.
일반 직원의 상무(이사 포함)급 임원 평균 나이는 52세, 사장단의 평균 나이는 58.8세다. 이를 감안하면 오너일가의 임원 승진은 일반 직원보다 18.2년, 사장단 승진은 16.1년이 더 빠른 셈이다.
같은 오너 일가라도 자녀세대가 부모세대보다 빨리 임원이 됐다. 대기업 1·2세에 해당하는 부모세대는 평균 29.5세에 입사해 34.6세에 임원을 달아 5.1년이 걸린 반면 3·4세로 분류되는 자녀세대는 28.6세에 입사해 4.5년 만인 33.1세에 임원 승진했다.
입사 후 사장이 오르는 기간도 자녀세대가 더 짧았다. 부모세대는 평균 43.5세에 사장단이 돼 평균 14.4년이 걸렸고, 자녀세대는 41.3세에 사장단에 올라 13.6년이 소요됐다.
이러한 경향은 그룹 규모가 작을수록 두드러졌다. 조사대상 중 30대 그룹에 포함된 21개 그룹 오너일가는 임원 승진까지 5.5년이 걸렸는데 30대 그룹 밖 22개 그룹은 3.4년으로 2.1년이 빨랐다. 사장단까지의 승진 속도도 하위 그룹이 12.5년으로 30대 그룹(14.8년)보다 2.3년 앞섰다.
입사와 동시에 임원을 단 오너일가는 총 34명으로, 이 가운데 절반(17명)은 자사 또는 타사 경력 없이 바로 임원으로 입사했다. 경력 없이 임원으로 입사한 17명 중 부모세대는 11명, 자녀세대는 6명으로 조사됐다.
부모세대 오너일가 중에서는 이순형 세아그룹 회장과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모두 25세의 나이에 임원으로 입사했다. 신영자 전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신유미 전 롯데호텔 고문,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 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 최창영 고려아연 명예회장, 정몽진 KCC 회장 등이 입사와 동시에 임원을 달았다.
자녀세대 중에서는 정유경 신세계백화점 총괄 사장이 24세에 조선호텔 상무보로 입사했고, 정일선 현대비앤지스틸 사장이 29세에 기아자동차 이사로 입사해 20대에 별을 달았다. 영풍그룹의 장세욱 시그네틱스 부사장, 장세준 코리아써키트 대표도 각각 30세, 35세의 젊은 나이에 임원으로 입사했다.
입사 후 사장단 승진까지 10년이 채 걸리지 않은 오너일가는 26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신창재 교보생명(0년) 회장을 비롯해 김승연 한화 회장(0.3년), 박용현 두산연강재단 이사(1년), 구자균 LS일렉트릭 대표(2년), 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3.5년), 이호진 태광그룹 전 회장(4.1년), 정몽구 현대자동차 명예회장(4.1년), 정교선 현대백화점 부회장(4.9년) 등은 입사 후 5년 내 사장단에 올랐다.
입사 후 임원 승진까지 10년 이상 걸린 오너일가는 20명이었다. 구자엽 LS전선 회장은 입사 후 첫 임원까지 16.6년, 박장석 SKC 고문은 16.2년이 소요됐다. 이어 구자용 E1 회장(16년), 허명수 전 GS건설 부회장(15.2년), 허연수 GS리테일 부회장(14.2년), 박석원 ㈜두산 부사장(14.1년) 등이다.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주식부호 1위'···2위 정몽구·3위 김범수
- 재벌가 '혼맥' 더 늘었다···오너 자녀 간 결혼 비중 50.7%
- 50대 자산운용사, 사모펀드 규모 3년 새 62%↑
- 삼성전자 3분기까지 R&D 투자 16조 '압도적 1위'
- 대기업 3분기 누적 잉여현금 28조원 육박···배당 확대하나?
- 대기업 10곳 중 3곳, 2년 간 온실가스 10% 이상 줄였다
- 재계 세대교체·경영권 승계 '가속'···3~4세대 총수일가 '전면에'
- 대기업, 코로나에 이익 25% 줄어도 투자 15% 늘렸다
- 대기업 대표 절반, '강남3구' 아니면 '마용성' 살아
- 한화, 새해 첫 투자 '우주산업'···쎄트렉아이 지분 30% 인수
- 대기업 사외이사, '6년 임기 제한'에 84명 짐 싼다
- [코로나 1년] 대기업도 신규 채용 줄였다···순고용인원 6천명↓
- 조현상 효성 총괄사장, 4년만에 부회장 승진
- 공정위, 정몽진 KCC 회장 검찰 고발···위장계열사 혐의
- [코로나 1년] 재계 지형도 바꿨다···셀트리온·네이버 자산 순위 급등
- 두산연강재단, 올해 초·중·고·대학생 장학금 24억 지원
- "유니콘 기업 창업자 절반 'SKY·카이스트' 출신···삼성 20%"
- 박재용 태광산업 대표, 脫 플라스틱 '고고 챌린지' 동참
- 대기업 30여 곳, 올해 주총서 女 사외이사 첫 선임
- E1, 구자용·구동휘·천정식 3인 각자 대표이사 체제
- '주식 열풍' 소액주주 4500만명 시대···1년 새 80% 증가
- 대기업 부채 1500조 돌파···연내 갚아야 할 빚 780조
- 유동성 늘자 대기업 7개 늘었다···공시대상기업 71개 '최다'
- 삼성전자, 경영평가 최우수 기업 2년 연속 1위
- 코로나19 여파, 지난해 대기업 직원 1만명 줄었다
- 삼성전자 '국내 특허 1위'···5년여간 약 2만건 등록
- 대기업, 미래기술 진출 '박차'···자회사 편입 석달간 41개↑
- [특징주] 현대비앤지스틸, 노사 파업 소식에 하락세
- LS전선, 대만서 2천억 해저케이블 수주···누적 8천억 '쾌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