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프리미엄아울렛 파주점 태양광 설비 설치 사진. (사진=롯데쇼핑)
롯데 프리미엄아울렛 파주점 태양광 설비 설치 사진. (사진=롯데쇼핑)

[서울파이낸스 박소다 기자] 정부의 탄소 배출 감축 정책 강화에 맞춰 유통기업들이 에너지 효율화, 재생에너지 전환, 친환경 포장재 사용, 전기차 도입 등 다양한 활동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배출량 감소와 ESG 보고서상의 수치는 기업마다 차이가 있다.

업계에서는 기후 리스크가 비용, 공급망, 수요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탄소 감축을 장기적 생존을 위한 핵심 과제로 인식하는 분위기다.

26일 정부 관계 부처에 따르면, 지난 11일 국무회의에서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제4차 계획기간(2026~2030년) 국가 배출권 할당 계획'이 최종 확정됐다.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최소 35% 감축하고, 국제적으로는 40% 감축을 목표로 한다. 총배출 허용량은 선형 감축 경로를 적용해 25억3730만톤(t)으로 설정됐다.

소비자는 친환경 기업에 프리미엄을 지불하고, 투자 시장은 ESG 성과를 평가하며, 정부 규제도 강화되면서, 유통기업들에게 탄소 감축은 단순한 환경 보호를 넘어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롯데백화점은 유통업계 최초로 재생에너지 직접 전력구매계약(PPA)을 도입했다. 파주 프리미엄아울렛 시범 도입을 통해 기존 자가소비형 태양광 264kW와 함께 연간 1851MWh의 재생전력을 사용하며 약 863tCO₂eq(이산화탄소 환산량)를 감축했다. 백화점은 2030년까지 총 266MW PPA 확보와 에너지 절약 설비 투자로 연간 7283tCO₂eq 추가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온실가스 감축과 자원순환 문화를 결합한 친환경 전략을 추진 중이다. 연간 3000t 이상의 온실가스를 줄이는 한편, 비닐 투 비닐 재활용 체계와 고객 참여형 중고 의류 순환 캠페인 '365 리사이클'을 운영한다. 이러한 성과로 올해 한국ESG기준원(KCGS) 평가에서 그룹 계열사 13곳 중 12곳이 통합 A등급 이상을 받았다.

편의점의 친환경 도시락 용기. (사진=BGF리테일)
편의점의 친환경 도시락 용기. (사진=BGF리테일)

플라스틱 용기 교체와 포장 덜어내기를 통한 탄소 절감 노력도 이어졌다. CU는 연간 3000만개 이상의 도시락 용기를 기존 PP에서 생분해성 PLA로 전면 교체한다고 지난달 발표했다. PLA는 옥수수·사탕수수 등 식물성 원료로 만들어 PP 대비 최대 50%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젓가락 제공은 요청 시로 전환하고, 결제용 바코드도 포장지에 직접 인쇄해 일회용품 사용을 줄인다.

롯데마트도 이달 전 점포에서 '포장의 진심' 행사를 진행했다. 소비자 인식 제고를 위해 마련한 행사로, 친환경 포장재 상품 구매 고객에게 인기 PB상품을 증정했다. 같은 기간 마트는 총 100여개의 친환경 포장재 상품을 추가로 선보였다. 최근 롯데마트는 무라벨 생수, 재활용 원단 R-PET 보냉백, 사탕수수 유래 친환경 종이 얼스팩 등 다양한 친환경 포장재 상품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유통업 특성상 차량 운행 비중이 높아 전기차 전환도 핵심 감축 수단이다. 이마트는 업무용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하는 작업을 가속하고 있다. 2020년 성수점 시범 도입 후, 2021년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사업(K-EV100)에 참여해 전기차 교체를 본격화했다. 지난해 기준 전체 법인 차량 78%인 154대를 전기차로 전환해 연간 약 1100t의 탄소를 줄이고, 점포 내 충전 인프라도 크게 늘렸다.

그러나 이러한 감축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제 배출량 감축 속도는 더딘 상황이다.

각 사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이마트는 52만2502t, 롯데쇼핑은 71만5622t, 신세계는 13만0818t의 탄소를 배출하며 전년 대비 각각 6.5%, 0.8%, 4.8% 증가했다.

편의점 업계에서는 BGF리테일(CU)이 7.4% 증가했고, GS리테일은 배출량과 탄소 집약도가 모두 감소했다. 현대백화점은 배출량은 1.5% 줄었지만 매출 감소로 탄소 집약도는 소폭 상승했다.

일부 기업은 스코프3 데이터 누락이나 검증 미완료 사례도 있어, 감축 노력과 실적 간 괴리가 존재한다.

전문가들은 유통기업이 친환경 제품 개발, 재생에너지 도입, 포장재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점포·물류·차량 등 배출원이 많아 실제 감축 성과가 바로 나타나지 않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감축 의지는 높아졌지만 실제 성과가 뒤따르지 않는 기업이 많다.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생존을 위한 단기적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며 "ESG 공시 의무화가 본격화하면 탄소 감축 성과와 투명성이 곧 기업 평가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