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새로운 금융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출현할 수 있도록 개인사업자 마이데이터 도입과 스테이블코인 규율체계 마련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26일 글로벌 핀테크 박람회인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에 참석해 "금융권의 'AI 대전환'이 대한민국 신성장동력의 첨병이 될 것이라 믿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소상공인의 디지털·데이터 기반 경영을 위해 개인사업자 정보의 체계적 수집과 활용을 제도화하는 개인사업자 마이데이터를 도입해 소상공인의 금융접근성을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자산 생태계의 건전한 발전과 디지털 금융이 안정적인 혁신을 맞이할 수 있도록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율체계를 포함한 입법안의 신속한 마련을 추진하겠다"고 부연했다.
정부가 추진 중인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와 함께 벤처·중소기업의 성장 자금을 지원하게 될 5조원 규모의 '스케일업펀드', 2조원 규모의 '세컨더리펀드' 조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스케일업펀드는 중·후기 벤처·중소기업의 글로벌기업 성장자금 투자와 신규 투자를 유도하는 펀드다. 2026년 재정에서 1000억원의 예산 반영을 추진중이다. 향후 5년간 총 5조원 조성을 목표로 한다.
세컨더리펀드도 5년간 2조원을 조성해 신규 투자에 이어 원활한 회수 지원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 위원장은 "핀테크 등 벤처기업에 자금이 흐를 수 있도록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BDC) 도입과 토큰증권(STO)을 제도화해 핀테크 등 혁신·벤처기업에 대한 자금 조달의 토대가 되는 제도를 재정비하겠다"고 말했다.
이날부터 3일간 양재 aT센터에서 개최되는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 는 99개 부스, 128개 기업·기관이 참가하고, 'K-핀테크 30 선정식'을 비롯해 세미나·부대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윤한홍 국회정무위원장과 이강일 위원, 솝넨두 모한티 GFTN CEO, 키란 쿠마르 케사바라푸 구글 클라우드 아시아태평양 산업솔루션 및 아키텍처 디렉터 등 국내외 연사들의 축사와 기조연설도 이어졌다.
기조연사로 나선 키란 쿠마르 케사바라푸는 'AI 에이전트가 바꾸는 금융의 패러다임'에 관한 기조연설을 통해 미래에 우리가 맞이할 금융의 모습을 소개했다.
총 99개 부스로 구성된 핀테크 전시관에서는 최신 핀테크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고, 기술의 동향을 살펴볼 수 있다. 핀테크 전시관은 △핀테크관 △금융관 △글로벌관 △협력관 등 네 개의 공간으로 조성되며, 글로벌 관점에서의 최신 핀테크 흐름을 전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