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국민연금이 지난해 증시호황의 영향으로 58조원에 육박하는 평가이익을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지난 22일 종가기준 국민연금이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상장사 275개 기업의 주식을 분석한 결과 국민연금의 보유지분 가치는 총 181조297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초에 비해 57조6839억원(46.7%)이 늘어난 수치다.
국민연금이 전체 주식에서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기업의 수는 지난해 314곳에서 현재 275곳으로 39곳이 감소했지만 최근 주가 상승에 힘입어 지분 가치는 확대됐다.
특히 삼성전자로부터 발생한 이익이 가장컸다. 국민연금의 삼성전자 보유지분은 10.7%로 작년 초보다 0.08%p 높아졌다. 그 사이 국민연금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 가치는 총 56조977억원으로 작년 초보다 20조579억원(55.7%)이 증가했다. 삼성전자 주가가 작년부터 현재까지 55.6% 상승한 덕으로, 전체 지분 증가액의 35%를 삼성전자가 기여한 셈이다.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생산 기업인 LG화학과 삼성SDI 지분도 최근 1년여 사이 각각 4조8525억원(210%), 3조6907억원(210.9%)이 상승했다. 이어 SK하이닉스(3조2478억원), 현대자동차(3조1407억원) 등도 3조원 이상 평가 이익이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언택트 수혜주로 꼽히는 네이버(2조9822억원)와 카카오(2조2483억원)의 지분가치는 2조원 이상 상승했다.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기대감이 있는 셀트리온의 국민연금 지분가치도 1조9609억원(104.8%) 증가했다. 셀트리온 주가는 작년부터 현재까지 71.3% 상승했으며, 국민연금은 이 기간 셀트리온의 지분율을 1.1%p 확대했다.
국민연금의 업종별(21개) 지분가치는 주요 기업의 투자성과에 따라 희비가 엇갈렸다. 삼성전자를 포함한 IT·전기전자업종(42곳)의 국민연금 지분가치는 지난해 초부터 현재까지 30조7751억원(62.3%) 늘어 증가액이 가장 컸다.
LG화학이 포함된 석유화학업종의 지분가치가 8조9836억원(118.8%), 네이버·카카오를 포함한 서비스업종이 7조2639억원(65.4%), 자동차·부품업종이 6조7292억원(78.4%), 제약·바이오가 2조7033억원(76.5%) 가량이 늘며 뒤를 이었다. 반면 한국전력공사 등 에너지(-3286억원), 보험(-3280억원), 조선·기계·설비(-1820억원) 등 8개 업종의 국민연금 지분가치는 1년 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국민연금, 자산운용 전문가 20명 공개 모집
- 국민연금, 해외주식실·채권실 분리 등 조직개편···"해외투자 강화"
- 국민연금공단, 김정학·박양숙 상임이사 임명
- 국민연금, 4분기에 반도체·건설株 사고 미디어·제약 팔았다
- 국민연금 "유상증자 반대"···대한+아시아나 합병 제동걸리나
- 국민연금, 대한항공 유상증자에 반대 입장 표명
- 국민연금, 3개월간 연금보험료 부담완화 조치 시행
- 국민연금공단, 향후 5년간 55%까지 해외투자 확대
- [코로나 1년] 대기업도 신규 채용 줄였다···순고용인원 6천명↓
- 국민연금공단, 임원 및 부서장 전원 '청렴 서약서' 제출
- 국민연금 '137兆 자산' 일반사무관리사에 하나펀드서비스 선정
- [코로나 1년] 재계 지형도 바꿨다···셀트리온·네이버 자산 순위 급등
- 국민연금, 주총 앞두고 '지분 보유 목적' 변경 속도
- 국민연금, 산림지에 1억5천만 달러 투자···'글로벌 대체투자 일환'
- 국민연금, 지난해 기금운용 수익률 9.7%···순자산 97조↑
- "유니콘 기업 창업자 절반 'SKY·카이스트' 출신···삼성 20%"
- 대기업 30여 곳, 올해 주총서 女 사외이사 첫 선임
- 국민연금공단, 신한은행·동국대와 합동 업무협약 체결
- '주식 열풍' 소액주주 4500만명 시대···1년 새 80% 증가
- 대기업 부채 1500조 돌파···연내 갚아야 할 빚 780조
- '코로나 여파' 500대 기업 44곳 물갈이···IT '약진'·정유 '추락'
- 삼성전자, 경영평가 최우수 기업 2년 연속 1위
- 코로나19 여파, 지난해 대기업 직원 1만명 줄었다
- 삼성전자 '국내 특허 1위'···5년여간 약 2만건 등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