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국민연금 가입 근로자수가 최근 1년 새 1만3000명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가 얼어붙자 기업이 신규 채용은 줄이고 기존 인력은 줄여 비용 절감에 나선 영향으로 풀이된다.
3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중 국민연금 가입 여부를 알 수 있는 497개사의 국민연금 가입자 추이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이들 기업의 국민연금 신규 취득자는 26만4901명, 국민연금 가입 자격 상실자는 27만803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국민연금 자격 취득은 취업, 상실은 퇴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난해 상실자수가 취득자수를 넘어서면서 순고용인원이 5902명 감소했다. 지난 2019년에는 국민연금 취득자(31만3768명)보다 상실자수(29만6563명)가 적어 순고용인원이 1만7205명으로 증가했었다.
조사 대상 기업들의 국민연금 총 가입자수도 2019년 말 166만4961명에서 지난해 말에는 165만2091명으로 1만2870명이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전체 22개 업종 중 절반이 넘는 12개 업종에서 1만9889명의 가입자가 순감했다. 건설 및 건자재업종의 감소 규모가 가장 컸다. 작년 1월부터 12월까지 건설 업종 국민연금 취득자수는 1만6403명, 상실자수가 2만4195명으로 순고용인원이 7792명 줄었다.
이어 △생활용품(–3516명) △자동차·부품(–1771명) △조선·기계·설비(–1551명) △운송(–1096명) △통신(–1063명) 등 업종의 순고용인원은 1000명 이상 줄었다. 국민연금 신규 취득자보다 상실자가 더 많았던 탓에 이들 업종의 지난해 12월 말 국민연금 가입자수도 1년 전 대비 모두 감소했다.
반면 지난해 10개 업종에선 1만3987명의 국민연금 가입자가 순증했다. 언택트(비대면) 수혜 업종인 IT·전기전자 기업들의 국민연금 신규 취득자가 상실자보다 3833명 많았다. 또 유통(3371명)과 공기업(3218명)도 신규 취득자가 상실자보다 각각 3000명 이상 많았다.
기업별로는 코로나19로 택배 물량이 급증하면서 직원을 대거 채용한 쿠팡의 순고용인원이 가장 많은 1만872명이 늘었다. 쿠팡풀필먼트서비스 역시 1만828명 늘었다.
지난해 호실적을 기록한 삼성전자는 3552명 순증했고, 이어 한화솔루션(3063명), 홈플러스(2890명), 코웨이(1610명), LG이노텍(1608명), 롯데케미칼(1127명) 등 7개 기업의 순고용인원이 1000명 이상 늘었다. 한화솔루션의 경우 지난해 1월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를 합병한 영향이 컸다.
DL(옛 대림산업)이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며 DL이앤씨 등을 분할 설립하면서 지난해 순고용인원이 –6031명으로 가장 많이 줄었다.
또 코로나19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은 기업들은 순고용인원도 크게 감소했다. 지난해 점포 수를 대폭 줄인 롯데쇼핑(-3248명)과 일부 극장을 폐쇄하고 상영회차를 줄인 CJ CGV(-2459명)의 순고용인원도 급감했다.
이와 함께 △에프알엘코리아(-1921명) △아성다이소(-1839명) △GS리테일(-1479명) △솔브레인홀딩스(-1140명) △두산중공업(-1044명) △삼성디스플레이(-1011명) 등의 지난해 국민연금 취득자보다 상실자가 1000명 이상 많았다.
월별 순고용인원 감소폭은 12월이 가장 컸으며,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선언된 3월(-7331명), 4월(-3019명)에만 1만명 이상이 줄었다.
CEO스코어는 코로나19 3차 유행이 장기화하면서 올해 1분기 특히 고용시장의 충격이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 국민연금, 작년 주식 평가익 58조···삼성전자로만 20조 벌었다
- 대기업 사외이사, '6년 임기 제한'에 84명 짐 싼다
- 대기업 오너家 승진속도 '빨라졌다'···33.8세 임원·42.7세 사장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주식부호 1위'···2위 정몽구·3위 김범수
- 재벌가 '혼맥' 더 늘었다···오너 자녀 간 결혼 비중 50.7%
- 50대 자산운용사, 사모펀드 규모 3년 새 62%↑
- 삼성전자 3분기까지 R&D 투자 16조 '압도적 1위'
- 대기업 3분기 누적 잉여현금 28조원 육박···배당 확대하나?
- 대기업 10곳 중 3곳, 2년 간 온실가스 10% 이상 줄였다
- 재계 세대교체·경영권 승계 '가속'···3~4세대 총수일가 '전면에'
- 대기업, 코로나에 이익 25% 줄어도 투자 15% 늘렸다
- 대기업 대표 절반, '강남3구' 아니면 '마용성' 살아
- 택배 3사 "과로방지 '분류인력' 6천명 투입, 약속 지켰다"
- 이번엔 택배대리점 연합회 '파업 예고'···"2차 합의 재검토해야"
- [이벤트] 삼성전자 '비스포크 페스티벌'
- 지난해 택배 물량 30억 개 넘어서
- [신상품] 삼성전자 '뉴 그랑데 AI 세탁기·건조기'
- 삼성전자, KBIS 2021서 '소비자 맞춤형' 가전 소개
- [코로나 1년] 재계 지형도 바꿨다···셀트리온·네이버 자산 순위 급등
- 기록적 한파에 美 전력부족, 삼성 오스틴 공장 '셧다운'
- 코웨이, 2년 연속 매출 3조···코로나 속 해외법인 성장 견인
- 대기업 30여 곳, 올해 주총서 女 사외이사 첫 선임
- LG이노텍, AI 특허분석으로 미래기술 선점 속도
- '주식 열풍' 소액주주 4500만명 시대···1년 새 80% 증가
- 대기업 부채 1500조 돌파···연내 갚아야 할 빚 780조
- 롯데케미칼, 1분기 영업익 6238억원 '흑자전환'
- '코로나 여파' 500대 기업 44곳 물갈이···IT '약진'·정유 '추락'
- 삼성전자, 경영평가 최우수 기업 2년 연속 1위
- 코로나19 여파, 지난해 대기업 직원 1만명 줄었다
- 대기업 내부거래 1년새 15조원↓···"일감몰아주기 규제 효과"
- 삼성전자 '국내 특허 1위'···5년여간 약 2만건 등록
- 코로나19 이후 대기업 대표 17% 자사주 매입···정의선 회장 1위
- 코로나에도 실적 '탄탄'···대기업 12곳, 86분기 연속 흑자
- 대기업, 2019년 이후 제재금 2조 육박···규제 리스크 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