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연구개발(R&D) 투자 규모가 지난해 처음으로 6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매출이 줄었음에도 R&D 투자는 늘린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가 22조원을 넘는 압도적인 규모의 투자를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에 R&D 활동을 공시한 224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 기업의 지난해 R&D 투자액은 총 60조3675억원으로 집계됐다.
R&D 투자액이 60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도별로 보면 2019년 53조8760억원, 2020년 55조7992억원으로 최근 2년 새 6조4915억원(12%)이 늘었다.
이는 투자예산 수립의 바탕이 된 2020년 매출(총 1595조7682억원)이 전년보다 40조원 가량 줄었음에도 이뤄낸 성과여서 의미가 있다고 CEO스코어는 평가했다. CEO스코어 측은 "2022년 R&D 예산 수립의 바탕인 지난해 매출이 1895조6092억원으로 2020년 대비 300조원 가까이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올해 R&D 투자액은 다시 한 번 사상 최대치를 갱신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의 지난해 투자 규모가 22조5965억원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2위인 SK하이닉스 투자액 4조448억원의 5배가 넘는 규모다. 삼성전자 R&D 투자액은 2019년 20조276억원, 2020년 21조2292억원으로 전체 기업 중 유일하게 지난해까지 매년 1조원 이상 투자액을 늘렸다.
3~5위에는 LG전자(3조6045억원)와 현대자동차(3조1001억원), LG디스플레이(2조1277억원)가 이름을 올렸다. 상위 5개 기업 중 현대차를 제외한 4개 기업이 IT 전기·전자 업종이다.
이 외에 기아(1조8719억원)와 네이버(1조6551억원), LG화학(1조3909억원), 현대모비스(1조1693억원) 등 4곳도 지난해 1조원 이상의 투자를 집행했다. 현대차와 기아, 현대모비스가 포함된 현대차그룹 계열사 투자액은 지난해 총 6조1413억원으로, 미래차 연구에 힘 쏟는 모습이었다.
투자액 증가폭 역시 삼성전자가 2020년 대비 1조3673억원 늘어 가장 컸다. 이어 LG에너지솔루션(2020년 12월 설립)이 6276억원 증가해 2위, SK하이닉스(5628억원↑)와 LG디스플레이(3876억원↑), 네이버(3229억원↑)가 3~5위에 각각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매출 대비 R&D 투자 비중이 10% 이상인 기업은 모두 13곳이었다. 비중이 가장 큰 곳은 네이버(24.3%)로, 지난해 매출 6조8176억원 중 1조6551억원을 R&D 투자로 집행했다. 이어 셀트리온(22.5%), 넷마블(22.4%), 크래프톤(19.4%), 엔씨소프트(18.6%) 등의 순이었다.
- 자산 2조원 미만 상장사 10곳 중 9곳, 女 사외이사 '0명'
- SK그룹, 16년 만에 현대차 제치고 재계 서열 2위 우뚝
- 대기업, 자사주 처분 2년 새 3배↑···'작년 소각·직원보상에 3.5조 썼다'
- 10대 그룹 신년사 키워드는···'코로나' 넘고 '미래·투자' 강조
- 상장사 감사보수만 올해 3000억 썼다···새 외감법 이후 '껑충'
- 대기업, 코로나19에도 투자 늘렸다···올해 8조원 이상 확대
- 대기업 온실가스 배출량 2년 새 9.3%↓···에너지 업종이 주도
- 대기업, 2019년 이후 제재금 2조 육박···규제 리스크 커졌다
- 코로나에도 실적 '탄탄'···대기업 12곳, 86분기 연속 흑자
- 대기업 상반기 영업익 100조 돌파···"코로나19 뚫고 2배 성장"
- 삼성전자, 휴대용 SSD 'T7 실드' 출시···"최고 성능·내구성"
- LGD, 1Q 영업익 383억원 '전년比 93%↓'···TV 출하 감소·LCD값 하락
- 삼성 TV 신제품 전 라인업, '탄소 발자국' 인증 획득
- 삼성전자 1Q 매출 77.7조원 '새 역사'···반도체·폰 호조(종합)
- LG전자, 1Q 매출·영업익 '역대 최대'···가전·TV 쌍끌이
- LG전자, 퓨리케어 듀얼 정수기 오브제컬렉션 출시
- 삼성 'Neo QLED 8K', 디지털 아트 전시회 개최
- 크래프톤, 올해 첫 매칭 그랜트 기부 진행···카이스트에 1억원 지원
- 삼성전자 노사, 9% 임금인상 합의···대졸 신입 연봉 5150만원
- LG전자, 英 라이프스타일 매장서 올레드 에보 특별 전시
- 엔씨소프트, '2022 하계 인턴' 모집 시작···채용 정보 공개
- 넷마블-인텔, '오버프라임' 개발 기술 협력·글로벌 공동 마케팅 MOU
- 삼성전자, 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데이코' 체험공간 새 단장
- 삼성전자 노조 "노사협의회 임금 협상은 불법"···노동부에 고발
- 넷마블,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밀리언볼트' 94억 지분투자
- [CEO&뉴스] 조주완 LG전자 사장, 조직문화 혁신 '사활'
- 삼성, 영상장치 최적화 메모리카드 출시···"16년 연속 녹화 가능"
- 여상덕 LGD 고문, SID서 '데이비드 사노프 산업공로상' 수상
- 넷마블문화재단, 을지문덕함에 IT기기 등 물품 기탁
- 넷마블 MBX 토큰,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 상장
- LG전자 "시네빔 레이저 4K로 홈 시네마 수요 공략"
- 조주완 LG전자 사장, 협력사 첫 간담회···"실질적 도움 지원"
- 넷마블에프앤씨, 데이터 커머스 '넥스트플레이어' 자회사 편입
- 엔씨소프트, 신규 입사자 '온보딩 프로그램' 강화
- 국내 현대미술 작가 작품 담은 LG 올레드 TV
- 크래프톤, 1분기 영업익 3119억 '37.3%↑'···"플랫폼별 균형 성장"
- LG디스플레이, "게이밍엔 OLED 화면이 최적" 연구결과 발표
- 엔씨소프트, 1분기 영업익 2442억 '330%↑'···"리니지W 흥행 효과"
- 엔씨소프트 실적 숨은 공신 '리니지M', 5년 동안 정상 지켰다
- LG 올레드 에보, 글로벌 친환경 인증 3관왕
- 라이징윙스, '솔리테어 포 컴피츠' 사전예약 시작
- 대기업 올해 1분기 매출 791조원···사상 첫 700조 돌파
- LGD, 연세대·한양대·성균관대와 디스플레이 전문인력 양성
- 국내 500대 기업 경영평가 최우수기업 삼성전자···3년 연속 1위
- LGD 첫 투명 OLED NFT 작품, 620만달러에 낙찰
- SK하이닉스 "지난해 9조4173억원 사회적 가치 창출"
- 엔씨소프트, 'TL' 세계관 담은 '플레이 노블' 콘텐츠 연재
- [초점] 삼성, 30년 먹거리 LCD 사업 완전 철수···LG는 당분간 유지
- 크래프톤, 가상인간 '애나' 티저 이미지 공개
- 라이징윙스, 동물 보호 위한 사회공헌 캠페인 시작
- 작년 100대 기업 韓경제에 1238조원 기여···삼성전자 160조 1위
- 올 상반기 1000대 기업 R&D 투자 22.7조···전년比 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