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국내 기업 순위 500위 내 주요 기업들의 올 1분기 매출이 791조원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700조원을 돌파했다.
1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500개 대기업 가운데 올해 1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344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1분기 매출 총액은 791조4797억원으로 작년 동기(661조9917억원) 대비 129조4800억원(19.6%) 늘었다. 이들 기업의 분기 매출이 700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업종별로 보면 삼성전자가 포함된 IT 전기·전자가 반도체 호황 등에 힘입어 143조3362억원의 매출을 올려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석유화학(101조4110억원), 자동차·부품(78조8655억원), 보험(67조1869억원), 증권(48조1918억원), 공기업(45조3703억원), 은행(42조7730억원) 등의 순으로 매출이 많았다.
매출 증감액의 경우 20개 업종 중 18개 업종에서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이 29조5612억원(41.1%) 증가해 IT 전기·전자를 앞섰다. 2위인 IT 전기·전자는 작년 동기 대비 22조1383억원(18.3%) 증가했다. 공기업(12조5264억원, 38.1%↑), 증권(11조1370억원, 30.1%↑), 철강(10조7006억원, 35.3%↑) 등도 각각 늘어나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조선·기계·설비(-6013억원, 2.7%↓), 통신(-2618억원, 1.8%↓)은 불황 여파와 SK텔레콤의 중간지주사 전환에 따른 투자 세분화에 따라 작년 동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
올해 1분기 조사 대상 기업의 영업이익 총액은 62조2247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59조1415억원) 보다 5.2%(3조832억원)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IT 전기·전자 업종이 21조2001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석유화학(8조6316억원), 은행(5조4412억원), 운송(4조8598억원), 자동차·부품(4조3218억원) 등에서 각각 상위권을 차지했다.
영업이익 증감액은 전체 20개 업종 중 13개 업종이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가 6조6708억원(45.9%) 늘어나 가장 큰 폭을 자랑했다. 2위에는 운송이 3조4605억원(247.3%)으로 IT전기전자와 배 이상 차이를 냈다.
이와 달리 가장 큰 영업손실은 적자전환한 공기업(-8조4997억원)이었다. 코로나19 기간 공기업 대부분의 적자 경영, 최근 한국전력이 발표한 적자 실적이 통계에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기업별로 매출과 영업이익을 살펴보면 삼성전자(12조3930억원, 19%↑)가 매출에서 부동의 1위를 지켰다. 이어 글로벌 천연가스 가격 상승세를 탄 한국가스공사(6조2681억원, 81.3%↑),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동산 경쟁력을 지닌 메리츠증권(5조9859억원, 123.7%↑), 포스코홀딩스(5조2693억원, 32.8%↑), SK에너지(5조2388억원, 101.7%↑)의 매출이 높게 나타났다.
영업이익 역시 삼성전자(4조7385억원, 50.5%↑)가 1위였다. HMM은 2조1293억원(208.9%↑)으로 삼성전자의 절반 규모에 다가서며 약진했다. 이어 SK하이닉스(1조5352억원, 115.9%↑), SK에너지(9087억원, 323.3%↑), 포스코홀딩스(7052억원, 45.4%↑) 순으로 강세를 보였다.
- 대기업 R&D 투자 첫 60조 돌파···삼성전자 22.6조
- 자산 2조원 미만 상장사 10곳 중 9곳, 女 사외이사 '0명'
- 지난해 대기업 제재 건수 571건···LG화학 34건 '최다'
- 국내 500대 기업, 작년 매출·영업이익 '역대 최대'
- [인사] CEO스코어데일리
- 대기업 CEO 5명중 4명은 전문경영인···재무 출신 선호
- 국민연금, 대기업 주총서 임원선임 69번·보수한도 56번 반대
- 대기업 환경법규 위반 중 67%는 건설업
- SK그룹, 16년 만에 현대차 제치고 재계 서열 2위 우뚝
- 대기업, 자사주 처분 2년 새 3배↑···'작년 소각·직원보상에 3.5조 썼다'
- 10대 그룹 신년사 키워드는···'코로나' 넘고 '미래·투자' 강조
- 상장사 감사보수만 올해 3000억 썼다···새 외감법 이후 '껑충'
- 대기업, 코로나19에도 투자 늘렸다···올해 8조원 이상 확대
- 대기업 온실가스 배출량 2년 새 9.3%↓···에너지 업종이 주도
- 대기업, 2019년 이후 제재금 2조 육박···규제 리스크 커졌다
- 코로나에도 실적 '탄탄'···대기업 12곳, 86분기 연속 흑자
- 대기업 상반기 영업익 100조 돌파···"코로나19 뚫고 2배 성장"
- 테슬라코리아 지난해 매출 295.9% 증가···외국계, 두자릿수 성장
- 삼성전자 "무풍에어컨 인기···에어컨 생산라인 풀가동"
- 삼성전자, ΄보이스피싱 악용 앱΄ 차단···보안 솔루션 공개
- 삼성 더 프리미어, 워커힐 체험 객실 패키지 출시
- 국내 500대 기업 경영평가 최우수기업 삼성전자···3년 연속 1위
- [초점] '이재용 리허설까지' 바이든 맞이 분주한 재계
- 삼성, 파라다이스 호텔서 '펫 케어 가전' 체험 이벤트
- 가족사진을 냉장고 패널로···삼성, 美서 '마이 비스포크' 도입
- SKT, 올해 첫 골드번호 추첨 행사 진행
- SKT "지난해 사회적 가치 창출 2조3408억원···4년 연속 성장"
- SKT-더존비즈온, 올인원 비즈니스 플랫폼 개발 협약
- SKT 이프랜드, 원밀리언과 메타버스 댄스 축제 연다
- SKT 고객센터, '한국 우수콜센터' 10년 연속 선정
- SKT, 5G MEC 기술 활용 세계 최초 지상파 방송 송출 성공
- SK하이닉스 "지난해 9조4173억원 사회적 가치 창출"
- [뉴스톡톡] "SK하이닉스, HR 직원이 공용차 사고냈는데"···제 식구 감싸기?
-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D램 미세화·낸드 적층 한계 돌파할 것"
- SK하이닉스, 현존 최고 D램 'HBM3' 양산···美엔비디아에 공급
- SK하이닉스, 반도체 인재 육성 프로그램 참가 모집
- 작년 100대 기업 韓경제에 1238조원 기여···삼성전자 160조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