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대기업 직원 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1만명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들이 공채 등 신규채용을 최소화하고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유통기업 등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을 진행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고용 형태도 정규직은 줄었고 비정규직이 늘면서 고용의 질이 악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500대 기업 중 직원수가 공개된 309곳의 올해 1분기 고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전체 직원수는 총 120만3835명으로, 2019년 4분기 대비 0.8%인 9756명 감소했다.
이 가운데 정규직 직원수가 114만3018명에서 113만1308명으로 1만1710명(1%) 줄어든 반면, 비정규직 직원수는 7만573명에서 7만2527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20개 업종 중 절반이 넘는 14개 업종의 정규직 직원이 줄었다. 2019년 4분기 71만7388명이던 이들 업종의 정규직 직원은 올 3월 현재 69만3760명으로 2만3628명(3.3%) 감소했다.
특히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유통업종의 정규직 직원수가 올해 3월 말 기준 9만6980명으로 7938명(7.6%) 줄어 감소 규모가 가장 컸다. 이어 △조선·기계·설비(-3572명) △자동차·부품(-3193명) △은행(-2843명) △식음료(-1283명) △건설 및 건자재(-1150명) △통신(-873명) △철강(-811명) △생활용품(-474명) △보험(-408명) △증권(-364명) △상사(-320명) 순으로 조사됐다.
이에 비해 지난해 호실적을 기록한 IT전기전자 업종은 같은 기간 정규직 직원이 5708명(2.3%) 늘었고, 서비스(3558명), 제약(1352명), 공기업(636명), 운송(603명) 업종도 코로나·비대면 특수를 누리며 정규직을 확대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의 정규직이 가장 많이 늘었다. 삼성전자는 3월 말 현재 정규직이 11만963명으로 2019년 4분기보다 6358명(6.1%) 늘어 정규직 수는 물론, 증가 인원에서도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코웨이가 1703명(36%) 증가했고, SK하이닉스(884명), 삼성바이오로직스(777명), 엔씨소프트(645명), 네이버(617명), 대한항공(571명), 씨젠(436명), CJ제일제당(418명), SK이노베이션(400명), 삼성SDI(383명) 등 순으로 정규직이 많이 늘었다.
반면 유통기업인 롯데쇼핑의 정규직은 2만2284명으로 11%(2768명), GS리테일은 5970명으로 31%(2678명) 각각 줄며 감소 규모에서 상위에 올랐다. 아울러 두산중공업(-1366명), 현대자동차(-1303명), 국민은행(-1254명), LG전자(-1227명)의 정규직이 1000명 이상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엇갈린 기업 실적이 고용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고용이 증가한 6개 업종 중 △IT전기전자 △공기업 △에너지 △운송 △제약업종의 매출은 최근 1년 새 증가한 반면 고용 감소업종 14개 업종 중 △건설 및 건자재 △보험 △석유화학 △은행 △증권업종은 매출도 축소됐다.
이들 대기업은 최근 1년 설비투자액(유·무형자산취득액)을 줄인 반면 연구개발(R&D)투자를 늘리며 신기술 확보에 주력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의 올해 1분기 설비투자 총액은 35조7100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35조9604억원보다 2505억원(0.7%) 감소했으나 같은 기간 R&D투자액은 12조6033억원에서 12조7909억원으로 1876억원(1.5%) 증가했다.
- 삼성전자, 경영평가 최우수 기업 2년 연속 1위
- '코로나 여파' 500대 기업 44곳 물갈이···IT '약진'·정유 '추락'
- 대기업 부채 1500조 돌파···연내 갚아야 할 빚 780조
- '주식 열풍' 소액주주 4500만명 시대···1년 새 80% 증가
- 대기업 30여 곳, 올해 주총서 女 사외이사 첫 선임
- "유니콘 기업 창업자 절반 'SKY·카이스트' 출신···삼성 20%"
- [코로나 1년] 재계 지형도 바꿨다···셀트리온·네이버 자산 순위 급등
- [코로나 1년] 대기업도 신규 채용 줄였다···순고용인원 6천명↓
- 국민연금, 작년 주식 평가익 58조···삼성전자로만 20조 벌었다
- 대기업 사외이사, '6년 임기 제한'에 84명 짐 싼다
- 대기업 오너家 승진속도 '빨라졌다'···33.8세 임원·42.7세 사장
- 엔씨소프트, 자율규제 강령 개정안 3분기부터 선제적 시행
- 넷마블-엔씨, 코로나19 백신 휴가 제도 도입
- 대한항공, 태국서 '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심사' 통과···해외 두 번째
- 삼성전자, 시스템에어컨 'DVM S2' 출시···"AI로 성능·효율 강화"
-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 '순항'···대만도 기업결합심사 승인
- 대기업 내부거래 1년새 15조원↓···"일감몰아주기 규제 효과"
- '삼성 희망디딤돌' 광주센터 개소···"보호종료 청소년 자립 지원"
- 엔씨소프트 유니버스, 1000만 다운로드 돌파
- SK하이닉스 신입 연봉 5040만원···"삼성전자보다 더 받는다"
- 엔씨소프트, '아이온 클래식' 23일 북·남미 출시
- 네이버, 전라남도교육청과 '웨일 스페이스' 활용 미래형 학습환경 구축
- 네이버뉴스, 추천 원하지 않는 언론사 기사 숨김 서비스 제공
- 삼성전자 '국내 특허 1위'···5년여간 약 2만건 등록
- SK하이닉스, 2Q 매출 10조 돌파···'슈퍼사이클' 이후 3년만
- 코로나19 이후 대기업 대표 17% 자사주 매입···정의선 회장 1위
- 대기업 상반기 영업익 100조 돌파···"코로나19 뚫고 2배 성장"
- 코웨이 정수기, 의약물질 정수 성능 WQA 인증 획득
- 코로나에도 실적 '탄탄'···대기업 12곳, 86분기 연속 흑자
- 코웨이, '사내 인플루언서 프로젝트' 운영
- 코웨이 공기청정기 필터, '화학물질저감 우수제품' 선정
- 대기업, 2019년 이후 제재금 2조 육박···규제 리스크 커졌다
- [신상품] 코웨이 '노블 정수기 빌트인'
- 대기업, 코로나19에도 투자 늘렸다···올해 8조원 이상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