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자산 2조원 미만의 국내 상장사 10곳 중 9곳에는 여성 사외이사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사외이사가 있는 국내 상장사 2212곳(코스피·코스닥)을 조사한 결과 자산총액 2조원 미만 기업이 2040곳, 자산총액 2조원 이상 기업이 172곳이었다.
자산총액 2조원 미만 기업 중 여성 사외이사가 단 한 명이라도 있는 기업은 8.2%(168곳)에 불과했고, 나머지 91.8%(1872곳)는 사외이사 전원이 남성으로 구성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사에서는 이 비율이 반대였다.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사에서 여성 사외이사가 1명 이상인 곳은 82.6%(142곳)였고, 사외이사 전원이 남성으로 구성된 기업은 17.4%(30곳)에 불과했다.
이 같은 차이는 올 8월 시행되는 새 자본시장법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기업 사외이사는 그간 남성이 대부분이었는데 개정 자본시장법은 자산총액이 2조원 이상인 상장사의 이사회를 특정 성(性)이 독식하지 않도록 규정했다. 개정 자본시장법 시행을 앞두고 규제 적용 대상인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사들이 여성 사외이사 선임에 비교적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대조를 보인 것이다.
한편 조사 대상 상장사 2212곳의 전체 사외이사 수는 총 4641명이었다. 여성 사외이사는 350명(7.5%), 남성은 4291명(92.5%)이었다.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사들은 개정 자본시장법 시행을 앞두고 올해 정기 주주총회 등을 통해 총 172명의 신규 사외이사를 선임했고, 신규 이사 중 68명(39.5%)이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여성 사외이사 비율은 작년 말 13.3%에서 최근 20.9%로 7.6%포인트(p) 상승했다.
반면 자산 2조원 미만 상장사들은 올해 891명의 사외이사를 신규로 선임했고, 이중 여성 비율은 4.8%(63명)에 그쳤다. 이들 기업의 여성 사외이사 비율은 지난해 말 4.0%보다 0.8%p 높은 4.8% 수준이었다.
코스피 상장사의 여성 사외이사 비율은 10.9%로, 코스닥 상장사(4.5%)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이는 자산 2조원 이상 상장사 대부분이 코스피에 집중돼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코스피 상장사의 업종별 여성 사외이사 비율은 금융업이 16.7%로 가장 높았고, 이어 전기·전자(14.0%), 유통(13.9%), 서비스(13.5%), 기타(12.1%), 화학(11.1%) 등의 순이었다.
국내 상장사 사외이사 평균 연령은 59.1세로 남성이 평균 59.5세, 여성이 53.3세였다.
- SK그룹, 16년 만에 현대차 제치고 재계 서열 2위 우뚝
- 대기업, 자사주 처분 2년 새 3배↑···'작년 소각·직원보상에 3.5조 썼다'
- 10대 그룹 신년사 키워드는···'코로나' 넘고 '미래·투자' 강조
- 상장사 감사보수만 올해 3000억 썼다···새 외감법 이후 '껑충'
- 대기업, 코로나19에도 투자 늘렸다···올해 8조원 이상 확대
- 대기업 온실가스 배출량 2년 새 9.3%↓···에너지 업종이 주도
- 대기업, 2019년 이후 제재금 2조 육박···규제 리스크 커졌다
- 코로나에도 실적 '탄탄'···대기업 12곳, 86분기 연속 흑자
- 대기업 상반기 영업익 100조 돌파···"코로나19 뚫고 2배 성장"
- 테슬라코리아 지난해 매출 295.9% 증가···외국계, 두자릿수 성장
- 코로나19 이후 대기업 대표 17% 자사주 매입···정의선 회장 1위
- 탈석탄·ESG 통했나···대기업 대기오염물질 1년 만에 30% 감축
- 올 들어 증시 시총 69조 증발···'1조 클럽' 15곳 자취 감춰
- 코스닥 상장사, 지난해 총 투자규모 19조···전년比 109.2%↑
- 대기업 R&D 투자 첫 60조 돌파···삼성전자 22.6조
- 대기업 올해 1분기 매출 791조원···사상 첫 700조 돌파
- 국내 500대 기업 경영평가 최우수기업 삼성전자···3년 연속 1위
- 작년 100대 기업 韓경제에 1238조원 기여···삼성전자 160조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