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현대차 노사가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노사는 상호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생산을 정상화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9일 울산공장에서 열린 20차 교섭에서 이동석 대표이사와 문용문 노조지부장 등 노사 교섭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잠정합의안 주요 내용은 기본급 10만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경영성과금 350%+700만원, 하반기 위기극복 격려금 100%+150만원, 글로벌 어워즈 수상 기념 격려금 500만원+주식 30주, 노사 공동 안전문화 구축 격려금 230만원 등이다.
정년 연장은 현재 도입하고 있는 계속고용제(정년 퇴직 후 1년 고용 + 1년 고용)를 유지하며 향후 법 개정에 대비한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 노동시간 단축, 임금제도 개선 등 주요 의제는 '노사 공동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 관련 논의를 지속하기로 했다. 특히 글로벌 수요 변동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생산 차종, 물량 논의 등 국내 생산 공장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하기로 했다.
또한 노사는 국내 생산 공장에서 소프트웨어 전문인력 양성, 차세대 파워트레인 핵심부품 생산 등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발전하는 차(SDV) 품질 경쟁력과 직원 고용 안정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올해 교섭을 바라보는 고객과 협력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심과 걱정 속에서, 현대차 노사가 미래 생존과 위기 극복의 의지를 담아 잠정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며 "고객들의 끊임없는 성원에 보답하기 위해서라도 최고 품질의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도록 노사가 함께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美 불법체류 단속에···제약·바이오업계, 인력 운용 고민
- 현대차그룹 AAM 사업 '휘청'···슈퍼널 CEO·CTO·CSQO 동반 퇴진
- '美 한국인 구금' 일단락 됐지만···대미 투자 우려 확산
- 현대차, 美 불법 체류자 단속에 "협력사 고용 관행 철저 점검"
- 현대차·LG엔솔 美 배터리 공장에 이민당국 급습···450명 체포
- [차 만드는 로봇下] 사람 닮은 기계 실전 배치 본격화···현대차·테슬라 '스케일업'
- [차 만드는 로봇上] 사람 닮은 기계, 생산성·신뢰성 앞세워 인간 대체 가속
- 현대차 노조, 7년 만에 파업···교섭 결렬로 3일부터 사흘간 진행
- 현대차, 전기 소형 콘셉트카 '콘셉트 쓰리' 티저 이미지 공개
- 현대차, 8월 33만6395대 판매···전년比 0.4% 증가
- 美 관세 여파, 3분기에 정점 찍나···현대차·기아 등 완성차 제조사 부담 가중
- 현대차·기아, 민·관·학 미래 모빌리티 협의체 'NUMA' 출범
- 모트라스 노사, 잠정합의안 도출···기본급 8만2000원 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