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미국발 자동차 관세 부담이 3분기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협상을 통해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낮췄지만, 정작 발효는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3분기 관세 비용이 2분기 대비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업계 안팎에서는 관세율 15% 발효가 예상되는 4분기 이후에나 현대자동차·기아 등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 부담이 완화될 수 있다고 내다본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 등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 10사의 2분기 합산 매출은 581조6000억원, 영업이익은 32조1000억원, 영업이익률은 5.5%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각사의 실적 발표에서 확인된 미국발 자동차 관세 비용은 총 13조3000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2.3%에 달했다. 이를 제외할 경우 조정 영업이익은 45조4000억원, 조정 영업이익률은 7.8%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문제는 미국발 자동차 관세 충격이 물류·현지 재고가 소진된 5월부터 본격화됐다는 점이다. 2분기 실적에 반영된 관세 비용은 사실상 두 달치에 그친 셈이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한국 등 주요국이 협상을 통해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췄지만, 발효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며 "이 때문에 3분기 관세 비용이 2분기보다 많은 16조원 이상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제조사 부담 완화는 관세율 인하가 예상되는 4분기 이후에나 가능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제조사들은 단기적으로 현지 판매 가격을 인상하고, 장기적으로 현지 생산을 확대하면서 관세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기아는 원가 절감, 현지 생산 확대를 통해 관세 충격을 흡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폭스바겐은 신규 투자보다 가격 인상에 무게를 두고 있으며, 토요타와 혼다는 가격 인상, 현지 생산 비중 확대를 검토 중이다. 닛산과 마쓰다도 가격을 조정할 예정이다. 현지 대표 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는 판매 비용 절감과 함께 신규 모델 출시로 수익성을 방어하겠다고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관세 충격을 상쇄하려면 평균 5~7%가량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며, 수요 위축을 피하기 위해 최소 1년 이상에 걸쳐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현재 미국 정부는 자동차 관세를 지렛대 삼아 상대국 관세 인하를 압박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은 유럽연합(EU)과의 무역 합의 공동 성명에서 상대방의 선 조치 이후 자동차 관세를 낮추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EU는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산 공산품 관세를 전면 철폐하고 미국산 해산물과 민감하지 않은 농식품의 저율관세할당(TRQ) 물량을 늘려 특혜적 시장 접근권을 제공하는 내용을 담은 입법안을 발표하는 등 자동차 관세 인하를 받기 위한 후속 조치를 단행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한국·일본 등에도 자동차 관세를 지렛대 삼아 대미 투자 패키지 이행 방식, 농산물 등 비관세 장벽 문제 해결을 도모할 수 있다"며 "연내 관세 인하를 받으려면 실질적인 선제적 조치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 [한미정상회담] 트럼프, 車관세 15% 재확인···현대차 36조 대미 투자 호응
- 기아, 8월 25만3950대 판매···전년比 0.8%↑
- 현대차, 8월 33만6395대 판매···전년比 0.4% 증가
- 현대차, 전기 소형 콘셉트카 '콘셉트 쓰리' 티저 이미지 공개
- "가족용 전기차의 새 기준"···기아, 준중형 SUV 'EV5' 첫선
- 현대차 노조, 7년 만에 파업···교섭 결렬로 3일부터 사흘간 진행
- [차 만드는 로봇上] 사람 닮은 기계, 생산성·신뢰성 앞세워 인간 대체 가속
- 기아, 호주 진출 37년 만에 누적 100만대 돌파
- 현대차·LG엔솔 美 배터리 공장에 이민당국 급습···450명 체포
- 성과급에 주식 얹고, 미래 인력까지 키운다···현대차 노사, 잠정합의안 도출
- [시승기] 연비만 보던 프리우스, 네 바퀴 굴림으로 주행 안정성까지 잡았다
- 기아, 2026년형 카니발 하이리무진 출시···편의사양 강화·신규트림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