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미국 이민 당국에 체포·구금됐던 한국인 근로자들이 풀려나 귀국한 것과 관련해 "안전하게 집으로 돌아갔다는 소식을 듣고 안도감을 느꼈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11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시에서 열린 오토모티브뉴스 콩그레스에 참석해 "걱정을 많이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우리 정부와 미국 정부가 긴밀히 협력하고 있는 만큼 더 나은 비자 제도를 만들길 원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이민 당국은 조지아주에 위치한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불법 체류 및 고용 단속을 이유로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을 긴급 체포·구금했다. 오토모티브뉴스는 이번 사태가 한국산 차량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한 협상 직후 발생해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고 전했다.
정 회장은 "미국 시장에 더 많은 기여를 할 것"이라며 "미국은 현대차그룹에 가장 크고 중요한 시장으로, 매우 성숙한 고객 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호세 무뇨스 현대차 최고경영자(CEO)는 같은 행사에서 이번 사태로 전기차 배터리 공장 가동이 최소 2~3개월 연기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러트닉 美 상무장관 "옛 방식 안 통해···앞으로 올바른 비자 받아야"
- LG엔솔, 美 구금 사태에 '송구'···전세기 투입해 귀국 지원
- 美 불법체류 단속에···제약·바이오업계, 인력 운용 고민
- 현대차그룹 AAM 사업 '휘청'···슈퍼널 CEO·CTO·CSQO 동반 퇴진
- '美 한국인 구금' 일단락 됐지만···대미 투자 우려 확산
- 미국에 구금됐던 韓 근로자 316명 오늘 오후 2시 인천 도착
- 김동명 LG엔솔 사장 "美 공장 건설 차질 우려 과장···귀국 직원 전원 유급휴가"
- 25% 관세 덫에 갇힌 현대차그룹···일본차는 美 시장 도약 시동
- 현대차그룹, '2025 제로원데이' 개최···혁신 프로젝트 20건 전시
- 그룹 체질 바꾼 정의선 5년···AI·SDV·로보틱스로 미래 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