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광소재 업체 대한광통신이 레이저 대공무기체계 광섬유 국산화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드론이 현대전 판도를 바꾸는 가운데, 레이저 무기 소재 자립 행보는 안보와 산업 양면에서 전략적 의미를 지닌다는 평가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방위사업청과 국방과학연구소(ADD)는 2019년부터 레이저 대공무기체계를 개발하고 있다. 블록I(2024~2026년)부터 블록II(2027~2030년), 블록III(2030년~)로 이어지는 중장기 로드맵에 따라 성능 고도화와 플랫폼 확장을 추진, 궁극적으로 극초음속무기까지 대응 가능한 방공체계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다.
지난해 수도권과 전방 방공부대에 20~30킬로와트(kW)급 블록I을 배치하며 전력화에 돌입했다. 광섬유 기반 레이저로 표적 취약부를 지속 조사해 엔진과 전자장비를 무력화하는 방식이며, 발사당 비용은 1만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광통신은 이러한 체계의 핵심 소재 중 하나인 이터븀 첨가 광섬유를 개발하고 있다. 이 광섬유는 레이저 발진기 내 이득매질로 사용되며, 회사는 2015년 ADD와 함께 안티드론 레이저용 소재 개발에 착수한 이후 관련 기술을 축적해 왔다. 현재는 군용 레이저 발진기에 해당 광섬유를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민관이 기술 자립 움직임을 보이는 배경에는 국제 규제라는 요인이 자리한다. 미국의 수출관리규정과 다국적 협의체인 바세나르 협약은 일정 출력 이상의 고출력 레이저를 군용 적용이 가능한 품목으로 분류해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이에 해외 공급망에 의존할 경우 공급 차질이나 수출 제한이 불가피하다. 현재 국내 레이저 대공무기체계의 핵심 소재는 해외 업체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나, 출력이 100kW급을 넘어설 경우 단순 산업용을 넘어 지향성 에너지 무기로 분류돼 규제가 한층 강화될 수 있다.
증권가에서는 국내 레이저 대공무기체계의 단계별 양산이 본격화되면 대한광통신의 광섬유 기술 역시 방산 소재 분야로 외연이 확장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한 연구원은 "국방 전력화 계획에 따르면 국내 레이저 대공무기체계 시장 규모는 2029년 약 1조2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라며 "소재 국산화가 진전되면 대한광통신의 관련 매출도 확대될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 한화, ADEX서 AI기반 무기체계 공개···"韓 자주국방 청사진 제시"
- 코스피, 한-미 관세협상 타결 기대감 3700 돌파
- 코스피, 하루만에 반등···3650선 사상 최고치 재경신
- 한화에어로, 스웨덴에 155mm MCS 추가 공급···북유럽 방산협력 확대
- 고환율에 골치 썩는 보험사···헤지비용·유동성 압박 가시화
- LG엔솔, '보상금 효과'에 3분기 반짝···ESS로 수익 구조 전환
- 코스피, 제약·전력·반도체 강세···3590선 반등 출발
- 한화오션, 미래 전장 주도할 '차세대 전략 수상함' 공개
- 한화의 다음 무대는 '하늘'···美 GA-ASI와 15조원 무인기 시장 공략
- 뉴욕증시, 미중 신경전에 묻힌 비둘기 파월 '혼조'…엔비디아 4%↓·월마트 신고가
-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中, 한화오션 美 자회사 5곳 제재
- 美·中 무역갈등 확대···환율, 구두개입 하루 만에 1430원선 회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