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완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 의사를 밝혔다. 한미 정상회담 다음날 나온 발언으로, 한미 군사 협력의 상징적 조치로 평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한국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한미 군사동맹은 어느 때보다 강력하다"며 "한국이 구식 디젤 잠수함 대신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하도록 승인했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의 잠수함은 미국 필라델피아 조선소(필리조선소)에서 건조될 것"이라며 "미국 조선업이 곧 대대적인 부활을 맞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핵추진 잠수함 건조는 단순한 선언이 아닌,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과 미국의 기술 지원 및 연료 공급이 수반돼야 하는 사안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 발언은 이러한 절차를 추진하겠다는 정치적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디젤 잠수함은 작전 지속 능력이 낮아 북한·중국 잠수함 추적에 한계가 있다"며 "핵연료 공급을 허용해주면 한국 기술로 재래식 무기 탑재 잠수함을 건조해 미군의 부담을 덜 수 있다"고 요청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이 같은 이 대통령의 요청에 공감을 표하고 후속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전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필라델피아 조선소는 한화그룹이 인수한 미국 내 주요 조선시설로, 양국 간 조선 협력의 상징으로 꼽힌다. 한화는 지난 8월 '마스가(MASGA)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필리조선소에 50억달러(약 7조원) 추가 투자를 발표한 바 있다. 최근 중국 상무부가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 5곳을 거래 제한 목록에 올린 상황에서, 이번 트럼프 발언은 중국 견제 속 한미 조선 동맹 강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합의로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SSN) 개발이 현실화될 경우, 이는 한미 동맹의 군사 협력 수준을 한층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다만 핵연료로 사용되는 저농축 우라늄 확보를 위해선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이 필요해 후속 협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무역 및 투자 관련 협의 결과도 언급했다. 그는 "한국은 관세 인하 혜택의 대가로 3500억달러(약 500조원)를 미국에 지불하기로 합의했다"며 "한국 기업과 사업가들이 미국에 투자할 금액은 6000억달러를 넘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양국은 이번 회담에서 2000억달러는 직접 현금 투자, 나머지 1500억달러는 조선업 협력 및 보증 형태로 투자하기로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6000억달러는 그간 한국 기업들이 투자를 약정했던 내용과 이번 신규 투자의 합산액으로 해석된다.
- [APEC] 홍범식 LG U+ 대표, 가먼 AWS CEO 만나 AI·클라우드 협력 논의
- 한미 관세협상 타결···"현금 2000억·조선 협력 1500억 달러"
- [APEC] 李 대통령, 대미 투자·안보 패키지 논의···트럼프 韓 조선업 협력 강조
- [APEC] 李 대통령, '7兆 투자' 맷 가먼 AWS CEO에 "적극 지원 약속"
- [APEC] AWS·르노 등 글로벌 기업 7개사, 한국에 5년간 13조원 투자한다
- [APEC] 장인화 포스코 회장···"한-호주 협력으로 지속가능한 공급망 미래 연다"
- 경제단체, 관세협상 타결 '환영'···"불확실성 해소, 정부 노고에 감사"
- MASGA 협력 1500억달러 공식화···K-조선, '한미동맹' 핵심 축으로 부상
- 캐나다 총리 한화오션 거제조선소 방문···60兆 잠수함 수주전 막판 점검
- 미·중 무역 합의로 해운·조선 제재 철회···K-조선, 숨통 트이나
- 中 상무부,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 제재 '1년 유예' 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