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예온 기자] 6.27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서울과 경기 아파트 거래량이 7월 들어 뚜렷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규제 강화와 금리 부담이 맞물리면서 매수 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데다, 매도자들 역시 가격 조정을 주저하며 거래 절벽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11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5년 7월 전국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4.4%로 6월(46.5%) 대비 2.1%p(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p 증가해 상승 거래는 줄고 하락 거래는 늘어나는 '하락 전환' 흐름이 나타났다.
특히 이런 흐름은 수도권에서 두드러졌다. 2025년 7월 수도권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5.0%로 6월(48.1%) 대비 3.1%p 줄었다. 반면 하락 거래 비중은 35.1%에서 39.2%로 4.1%p 증가했다.
세부 지역별로 서울의 상승 거래 비중은 2.1%p 감소한 반면, 하락 거래 비중은 3.6%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역시 상승 거래 비중이 2.8%p(포인트) 줄었고, 하락 거래 비중은 3.5%p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인천의 경우 상승 거래 비중은 큰 변동이 없었으며, 하락 거래 비중도 1.6%p 소폭 증가했다. 지방은 전반적으로 뚜렷한 변화 없이 유지됐다.
다만, 세종시는 지방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하락 전환 폭이 크게 나타났다. 7월 세종시의 상승 거래 비중은 41.7%로 6월(48.9%) 대비 7.2%p 감소했고, 하락 거래 비중은 같은 기간 9.9p% 증가해 45.2%로 나타났다. 세종의 경우 행정수도 이전 등 개발 관련 기대감이 시장에 일부 영향을 미쳤으나, 후속 추진이나, 구체적 실행이 가시화되지 않아, 매수세가 다소 진정된 결과로 보인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실 랩장은 "수도권 부동산 공급에 대한 불안 심리가 여전히 자리 잡고 있어 관망세가 이어지더라도 실제 가격 조정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단순 공급량 부족이라기보다는 실수요층이 원하는 입지나 주택 유형이 적시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지속돼, 이같은 인식이 일정 부분 시장 가격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라고 설명했다.
- 서울 매수심리 주춤 ···강남권만 '슬금슬금' 반등
- 8월 수도권 분양물량 올 들어 최다···1.8만가구 분양 예정
- 8월 전국 2만5699세대 공급···대출 제한에도 분양시장 견조
- 6.27대책 이후 서울 집값 상승세 5주째 둔화
- 직방, 스마트홈 도어록 '헤이븐'에 NFC 기능 도입
- 서울시, 비거주 외국인 고가주택 매입 규제 검토 지시
- "지방도 브랜드 대단지 아파트가 '집값' 상승 주도"
- 월세 떨어진 서울 대학가, 고정비 부담 커진 이유는?
- 호갱노노, 커뮤니티 플랫폼 전면 개편
- '지방 부동산 시장 살린다'···세컨드홈 특례·미분양 매입 강화
- 6.27 규제 여파, 7월 전국 주택 매매 심리 '급랭'
- 서울 임대차 시장, 전세 균형 깨지고 월세 확대
- 서울 아파트값 30주째 상승···강남·용산 중심 회복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