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차 유형별 서울 아파트 월간 거래 비중 추이 (사진=직방)
임대차 유형별 서울 아파트 월간 거래 비중 추이 (사진=직방)

[서울파이낸스 김예온 기자] 서울 아파트 임대차 시장이 대출 규제와 자금 여건 변화로 월세 비중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재편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18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서울 아파트 임대차 거래 중 신규 계약 건을 분석한 결과, 7월 서울 전세 비중은 전년 동월 대비 7%p(포인트) 낮아져, 52%로 나타났다. 반면 월세 비중은 같은 기간 41%에서 7%p 상승해 48%로 집계됐다. 

보증금 대비 월세 수준을 기준으로 한 지표에서도 전세와 유사한 계약 비중은 1년 만에 6%p 줄고, 월세와 유사한 계약 비중은 6%p 늘었다. 월세와 유사한 계약은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전세보다 월세 비중이 높은 지역은 △동대문구(62%) △강북구(60%) △종로구(59%) △용산구(57%) △금천구(55%) △중랑구(54%) △강남·중구(53%)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봉구·동작구·양천구·성북구·노원구 등은 여전히 전세 비중이 절반 이상으로 나타났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실 랩장은 "서울 아파트 임대차 시장은 전세 중심 구조에서 월세 중심 구조로 서서히 이동하고 있다"라며 "금리 수준과 전세대출 규제 강화, 보증 한도 축소 등 자금 조달 여건의 변화와 맞물려 나타난 현상"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그는 "고가 주거지에서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수요가 월세로 전환되는 사례가 늘며, 향후 공급여건, 금리, 금융규제와 같은 시장 변수가 변화할 경우 또 다른 흐름이 나타날 수 도 있으나, 당분간은 월세 중심의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라고 전망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