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3분기 실적 발표를 마친 국내 게임업계의 화두는 단연 NFT(대체불가토큰)다. 각 사들은 저마다 실적 발표와 함께 NFT 시장 진출을 알리며 중장기 계획을 밝혔다. 이른바 게임을 하면서 돈을 버는 '플레이 투언(Play to Earn·P2E)'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NFT는 비트코인처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다. 하지만 기존 가상자산과 달리 코인 등 디지털 자산에 '대체 불가능한'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NFT는 가상 자산에 희소성과 유일성이라는 가치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예술품, 온라인 스포츠·게임 아이템 거래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블록체인-가상자산·NFT-플레이 투언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게임 장르가 부각되고 있다.
이때까지 게임의 경우 대부분은 '플레이 투 윈'(Play to Win·P2W)이였다면 블록체인의 등장으로 인해 이용자들은 게임을 즐기며 돈까지 벌 수 있게 된 것이다. 다만 과거에도 이런 사례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엔씨소프트 '리니지'의 경우 '집행검'이 실제 집 가격을 웃돌아 '집판검'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김소혜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우리는 P2E의 태생은 리니지라고 판단한다"며 "게임 내에서 획득한 자산의 가치를 유저들에게 현실로 체감하게 해준 최초의 게임은 리니지 만한 게 없다"고 말했다.
다만 얼마의 돈을 벌 수 있냐라는 질문에는 그 국가 물가와 함께 자신의 역량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해외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대표적인 게임인 '엑시 인피니티'의 경우 동남아 쪽에서 선풍적인 지지를 얻고 있는데, 코인을 화폐로 환산하면 필리핀 평균 월급(약 104만원)보다 많기 때문에 생계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물가와 비교를 하면 생계에는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다.
현재 국내에서 이 분야의 선두주자는 단연 위메이드다. 위메이드는 지난 8월 NFT 기반 모바일 대규모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미르4' 글로벌을 해외에 출시해 이달 12일 기준 동시 접속자 130만명을 돌파했다.
이용자들은 게임 속 자원인 '흑철'을 모으면 게임 코인 '드레이코'로 바꿀 수 있다. 이 드레이코는 국내외 가상화폐 거래소에 상장된 '위믹스 코인'으로 교환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미르4 캐릭터에는 NFT 기술이 적용돼 이용자들은 캐릭터를 거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미르4의 흥행에 힘입어 이번 3분기 실적 발표에는 넷마블, 엔씨소프트, 컴투스, 게임빌, 카카오게임즈 등이 모두 NFT 연계 상품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권영식 넷마블 대표는 "블록체인, NFT을 게임과 연계하는 것은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내년 초 라인업 설명회에서 발표하겠다"고 말했고, 홍원준 엔씨소프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블록체인 관련 태스크포스(TF)를 이전부터 만들어 준비해왔다며 "내년 중에는 NFT, 블록체인을 결합한 새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컴투스와 게임빌도 각각 '서머너즈워: 크로니클'에 P2E를 적용하고, 내년 상반기에 NFT 거래소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카카오게임즈도 지난 3일 주주 서한에서 "스포츠, 게임, 메타버스에 특화한 NFT 거래소를 (자회사) 프렌즈게임즈에서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일각에서는 과도한 NFT 열풍에 대해 경계하는 목소리도 있다.
먼저 NFT 기반 게임이 장기적으로 성공하려면 NFT 기술을 얼마나 빨리 도입하는지가 아니라, 게임 자체 지적재산권(IP)의 질을 높이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배동근 크래프톤 CFO는 "마이클 조던이 덩크슛 하는 영상은 NFT 거래 콘텐츠로서 가치가 있겠지만, 일반 사람이 농구하는 영상은 NFT 도입이 가능하더라도 거래는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라며 "게임 내 가상세계에 있는 재화나 콘텐츠가 의미를 가지려면 핵심은 게임 자체 IP의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종원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결국 NFT와 P2E의 접목은 플레이어가 가지고 있는 게임내 캐릭터 및 아이템 등 다양한 재화를 현실감 있게 사용할 수 있게 게임 밸런스를 잘 짜는 것이 최고의 화두가 될 것"이라며 "개발자로서의 경험을 첨언하자만 게임내 재화와 관련된 밸런스를 구성하는 것은 가장 어렵고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 선데이토즈, 3Q 영업익 34억원 '1.6%↓'···"NFT 기반 퍼즐 게임 준비"
- 데브시스터즈, 3Q 영업익 76억원 '흑자전환'···"쿠키런: 킹덤 흥행 효과"
- 현대차그룹, 'VH 어워드' 개최··· 신진 아티스트 발굴·창작지원
- 게임빌, 3Q 영업익 216억원 '289.7%↑'···"코인원 투자익 증가"
- 코인원·빗썸 FIU 심사결과에 게임사도 '촉각'
- 게임빌, '컴투스홀딩스'로 사명 변경···30일 임시주총
- 위메이드, NT게임즈에 전략적 투자 단행
- 웹젠, 3Q 영업익 163억원···전년比 62.4%↓
- 컴투스,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기업 '미씨컬 게임즈' 투자
- 'BTS' 하이브-'업비트' 두나무, NFT 손잡았다
- 위메이드, 위믹스 블록체인에 조이시티 게임 온보딩
- 거래소 "엔씨 특정 거래 살피는 중···조사·불공정 말할 단계는 아냐"
- 라이트컨, 신작 '라이즈 오브 스타즈' 이미지 2종 공개
- 컴투스, 신작 MMORPG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 시네마틱 영상 공개
- 게임빌컴투스플랫폼-테라폼랩스,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 '맞손'
- 넷마블, '세븐나이츠2' 1주년 기념 대규모 업데이트
- 컴투스, 신작 '발키리 러시' 아태 지역 서비스 시작
- 카카오 '음mm', 크리에이터 후원 기능 '응원하기' 도입
- 위메이드, 판교 사옥서 '미르M' 대형 래핑 선봬
- 엔씨소프트 피버, 신규 프로젝트 '즐거운 상상' 공개
- 컴투스-게임빌, 대학생 서포터즈 '컴투스플레이어' 7기 모집
- 게임빌, 블록체인 특화 게임제작본부 조직 개편 완료
- 컴투스, '거상M 징비록' 퍼블리싱···"블록체인 시스템 도입"
- 카카오게임즈, 오딘: 발할라 라이징 '월드 던전' 업데이트
- 카카오, 디지털카드 서비스 확대
- 컴투스, 교보문고·위지윅스튜디오와 메타버스 사업 협력 MOU
- 컴투스-다에리소프트,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 MOU 체결
- 카카오, 이모티콘 출시 10주년···"산업종사자 1만명·시장 규모 7000억"
- 위메이드, 위믹스 플랫폼에 액션스퀘어 P2E 신작 출시
- 게임빌, '안녕엘라' 퍼블리싱 계약···C2X 블록체인 생태계 합류
- 크래프톤, 게임 제작 프로듀서 양성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 넷마블, 게임콘서트서 'AI기술의 다양한 게임개발 활용 사례' 소개
-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에 남궁훈 카겜 각자대표 선임
- 게임빌, '컴투스홀딩스'로 사명 변경···새로운 CI 공개
- 위메이드, 해시드 벤처투자조합2호에 출자
- 엔씨소프트 유니버스, 글로벌 2천만 다운로드 돌파
- 위메이드, 클레이튼 기반 디파이 서비스사 '클레임스왑' 전략 투자
- 위메이드, 위믹스 플랫폼에 '다크에덴' 개발사 소프톤 합류
- 넷마블, '세븐나이츠 레볼루션' 구글·공식 사이트 사전등록 시작
- 엔씨 '리니지W', 공성전·서버침공 등 대규모 전투 선보인다
- 넷마블, 신사옥 준공 기념 지역사회에 쌀 2200포 기부
- 넷마블문화재단, 제10회 대한민국 교육기부 대상 수상
- 넷마블, 6년 연속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 선정
- 엔씨소프트, 글로벌 ESG 평가서 'A' 등급 획득
- 엔씨소프트 리니지W, 글로벌 IP '베르세르크'와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