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정부가 추진하는 40조원 규모 기간산업안정자금(이하 기간기금)의 첫 지원대상은 대한항공이 될 전망이다. 지원 규모는 1조원가량으로 예상된다.
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기간기금 집행을 담당하는 기금운용심의회는 최근 회의를 통해 기금 운용 규정과 채권 발행 사안 등을 논의했다. 기금 채권 발행은 이르면 이달 말부터 이뤄지며 3년물을 중심으로 때에 따라 최대 5년물까지 발행된다.
현재 정부는 우선 지원대상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극심한 경영난에 시달리는 항공과 해운업으로 정한 상태다. 정부는 항공업 가운데 대형항공사(FSC)는 기금으로 지원하고, 저비용항공사(LCC)는 정부가 가동 중인 135조원 규모의 금융지원 패키지를 활용한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CC인 제주항공과 에어부산도 기금 지원 요건(총차입금 5천억원 이상·근로자 수 300명 이상)을 충족하지만 국책은행 등을 통한 지원이 선순위라는 얘기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이 기금 지원대상 1호로 거론되고 있다.
앞서 대한항공은 KDB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으로부터 1조2000억원을 지원받았으나 이는 상반기에 필요한 자금으로 현재 하반기 1조원가량의 추가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
실제로 대한항공의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차입금(은행 차입금·금융 리스·회사채·ABS)은 3조3020억원이며, 올해 조기 상환권의 최초 행사 기간을 맞는 신종자본증권(7011억원)까지 더하면 값아야할 금액은 약 4조원에 이르기 때문이다.
정부는 국책은행이 대한항공에 선 지원한 1조2000억원도 기금으로 이관할 방침이다.
다만 또 다른 FSC 아시아나항공은 현재 HDC현대산업개발과 인수·합병(M&A) 단계를 밟고 있어 기금 지원 논의에서는 우선 배제되는 분위기다.
해운업의 경우 당장 기금 지원이 필요한 긴급 수요가 없다는 것이 금융당국의 판단이다. HMM(옛 현대상선)은 경영 혁신과 자구 노력을 전제로 채권은행이 지원하고 있고, 중소 해운사 지원은 정부가 이미 발표한 해운업 금융지원 프로그램으로 소화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한편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부실했던 기업은 원칙적으로 기금 지원 대상에서 빼기로 했다. 따라서 코로나19 이전부터 경영난에 허덕인 쌍용자동차는 기금 지원을 받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서울시, 대한항공 송현동 부지 보상비 4670억 책정
- 中, 외항사 운항제한 완화···'주 1→2회' 한중노선 회복 가능성
- 대한항공 유증 1차 발행가액 주당 1만4600원···신주 상장 7월 29일
- 대한항공 임직원, 코로나19 위기극복 의지 담은 영상 제작
- 3자연합, 한진칼 지분 2.49% 또 매입···경영권 분쟁 '2막'
- 아시아나항공, 에어서울에 운영자금 300억원 대여
- LCC업계, 2분기 사상 최악 적자 '현실화'
- HDC현산 "아시아나 인수 원점서 재검토하자" 채권단에 요청
- "뒷 줄부터 탑승하세요"···대한항공, 구역별 순차 탑승 도입
- 대한항공, '효자노릇' 화물사업 주력···"기내좌석 화물 싣는다"
- 대한항공, 객실 승무원 대상 최대 1년 무급휴직 실시
- 대한항공, 송현동 부지 매각작업 '빨간불'···예비입찰 '0'
- 서울시 '부지 저평가'에 뿔난 대한항공 노조···"고용불안 초래"
- "불확실성 끝내자"···은성수, 아시아나 M&A "만나서 대화" 당부
-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7월 국제선 운항 확대
- HMM, 세계 최대 컨테이너 6호선 '로테르담'호 명명식
- HMM, 세계 최대 컨선 7호선 '함부르크'호 명명식
- 산은, 쌍용차 900억 대출 연장···"급한 불은 껐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