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예온 기자] 6.27 강도 높은 규제 이후 집값이 하락할 것이란 전망과 달리, 서초·강남·용산을 중심으로 신고가 경신이 이어졌다. 거래량은 줄었지만, 규제 영향보다 입지, 신규 공급의 불투명성 등이 매수세를 자극해 서울 내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8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7월 총 3946건의 거래 중 932건이 신고가로 집계돼 전체의 23.6%를 차지했다. 지난 6월(22.9%)보다 높았으며, 2022년 7월(27.9%) 이후 최고 수준이다.
거래량은 주택담보대출 제한과 소유권 이전 전 세대출 금지 등 강도 높은 규제가 시행돼 1만935건(6월)에서 36% 수준으로 준 3946건 (7월)으로 나타났다.
특히 거래량은 감소했으나, 일부 거래는 여전히 가격 강세를 이어가 신고가를 경신했다. 12억원 초과~20억원 미만 대의 경우 자산 여력이 있는 수요자들이 여전히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서 성북구, 동작구, 성동구, 마포구 위주로 신고가 갱신이 발생했다. 30억원 초과 구간도 전체 거래의 20%를 차지했다.
자치구별로는 서초구 61.5%, 용산구 59.5% 강남구 51.6%가 전체 거래의 절반 이상이 신고가로 거래됐다. 서초구는 총 192건의 매매 거래 중 118건이 신고가로 거래됐고 가격대 별로는 30억원 초과 구간이 44%(52건)로 가장 높았다. 용산구는 중대형 구축 위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졌다. 총 111건 거래 중 66건이 신고가로 거래됐다. 그 외 △광진구(38.2%) △송파구(36.8%) △양천구(35.8%) △마포구(34.2%) △종로구(32.1%) △동작구(31.1%) 등 강남권 이외 도심권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졌다.
반면 9억원 이하의 구간은 전체의 18%에 그치며 신고가 비중이 다소 낮았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중랑구(4.3%) △구로·성북구(3.6%) △노원구(3.2%) △도봉구(3.1%)는 신고가 거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게 집계됐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실 랩장은 "서울 아파트 시장은 고가 주택과 중저가 주택 간 양극화가 뚜렷하다"라며 "고가 주택의 경우 핵심 입지의 희소성과 상징성, 제한적인 신규 공급, 불안정한 대체 투자처 등이 맞물려 규제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채 매수세가 이어졌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반면 중저가 단지는 자금 여력이 부족한 실수요자들이 대출에 크게 의존해, 규제 이후 거래 위축과 가격 조정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