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직방
자료=직방

[서울파이낸스 나민수 기자] '6.27 대책' 이후 전국 아파트 매매시장은 거래 위축과 가격 양극화라는 상반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거래량은 크게 줄었지만 서울은 여전히 국지적인 강세를 이어가고, 경기·인천 외곽 지역은 약세가 뚜렷해지면서 수도권 내부에서도 차별화가 진행됐다.

15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6월 5만3220건에서 7월 3만4304건, 8월 3만841건으로 감소했다. 수도권은 같은 기간 3만1132건에서 1만4321건, 1만2982건으로 줄어 절반 이하로 축소됐다.

거래가격 변동폭도 수도권은 6월 1.17%에서 7·8월 각각 0.70%, 0.57%로 둔화됐지만 서울은 여전히 1% 안팎의 상승세를 유지하며 독자적인 강세를 보였다.

반대로 지방은 대책 영향권에서 벗어나 거래량 감소가 제한적이었고 가격 변동률도 완만했다. 전국 평균 거래가격 변동률은 6월 0.94%에서 7월 0.66%, 8월 0.67%로 둔화했으나, 지방은 같은 기간 0.62%에서 0.74%로 오히려 소폭 확대됐다.

서울에서의 상승세는 자치구 전반으로 확산됐다. 8월 기준 25개 구 가운데 19곳에서 절반 이상의 거래가 종전 최고가보다 높은 가격에 이뤄졌다. 용산은 8월 전월 대비 4.28% 오르며 두드러졌고, 광진·중구·마포·강남·강동 등 도심지역도 강세를 이어갔다.

이에 반해 경기와 인천은 상승 거래 비중이 6월 50% 수준에서 7·8월 절반 아래로 떨어졌다. 과천과 분당 등 일부 지역만 예외적으로 강세를 보였고 외곽 지역은 하락·보합 거래가 비중을 늘렸다.

거래 부진에도 불구하고 서울 중심부와 선호 지역에서 가격 압력이 지속되는 것은 공급 부족 우려 때문이다.

정부는 이 같은 불안 심리를 완화하기 위해 '9.7 공급대책'을 내놓으며 중장기적으로 물량 확대를 예고했다. 다만 실제 입주 물량까지 시간이 걸려 단기적으로는 국지적 강세와 지역별 양극화 흐름이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김은선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정부는 취임 100일 브리핑에서도 공급 확대와 시장 안정 기조를 재차 강조한 바 있다"라며 "단기적으로는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한 국지적 강세와 양극화 흐름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