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의 무역 합의 타결을 공식화했다. 한국이 3500억달러(약 480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한 데 따른 대가로, 미국은 한국산 제품에 부과하던 25%의 관세를 15%로 내리기로 했다. 자동차·부품·기계 등 주요 수출 업종 전반에 걸친 관세 리스크가 완화되면서 수출 여건 개선과 함께 수익성 방어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먕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미국과 한국이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며 "한국은 3500억달러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약속한 데 이어 미국산 자동차와 농산물 등 수출품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미국은 한국산 제품에 적용하던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내리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치는 특히 수출 비중이 높은 자동차 산업의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가 클 것으로 분석된다. 김성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자동차 산업을 이끌고 있는 현대차·기아의 경우 연간 약 120만대의 차량을 국내에서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는데, 관세율이 10%포인트(p) 내려감에 따라 올해 영업이익 감소 규모가 종전 4조9000억원에서 1조6500억원 수준으로 줄어들 전망"이라고 말했다.
관세 부담이 완화되면서 이익률 측면에서도 개선이 예상된다. 하나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기존 25% 관세 적용 시 현대차와 기아의 영업이익률(OPM)은 각각 6.6%, 9.2% 수준이었지만, 15%로 인하된 이후에는 각각 7.0%, 9.9%까지 상승할 것으로 추정했다.
판매 전략 측면에서도 부담이 한층 완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기존에는 수익성 유지를 위해 현지 판매 가격을 최대 12%까지 인상해야 했으나, 관세율이 15%로 낮아지면서 인상률은 6%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인센티브 축소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기에, 판매 가격을 올리지 않고도 일정 수준의 수익성을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진단했다.
다만 관세 인하에도 불구하고 원가 구조상 부담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 한국산 부품 비중이 높은 만큼, 부품에 대한 관세가 10%p 낮아졌더라도 수익성에 일정한 영향을 줄 수 있어서다. 이에 업계는 관세 인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미국 내 생산 확대와 공급망 다변화는 물론, 차종 재편, 인센티브 축소, 원가 절감 등 복합적인 대응 전략이 병행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관세 완화 효과는 자동차 산업과 연관된 배터리 업계로도 일정 부분 파급될 수 있다. 배터리 단품 수출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지만, 배터리가 탑재된 완성차는 관세율 인상에 따른 차량가 상승 요인이 있었던 만큼, 이번 조치로 전가 압력이 일부 완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완성차 가격이 안정되면 배터리 수출가도 함께 조정될 수 있다"며 "미국 내 생산 중심 전략을 유지하면서도 수출 여건이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계 산업은 관세율 인하에 따른 산업기계·공작기계 등 주요 중간재의 수출 경쟁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미국 내 인프라 투자와 제조업 설비 확충 수요가 맞물리면서, 수출 여건 개선이 예상된다.
- 정부 "美 관세 불확실성 경계···시장 변동성 주시해야"
- [전문] 대통령실 "자동차 관세도 15%···쌀·소고기 추가개방 않기로"
- [속보] 이 대통령 "미국과 관세 협상 타결···큰 고비 넘어"
- [속보] 한-미 무역협상 타결…"상호관세 15%·3천5백억달러 투자"
- 중국차, 상반기 유럽서 91% 고성장···현대차·기아는 뒷걸음질
- KAMA·현대차 "車관세 인하 환영···수출 여건 개선 기대"
- MASGA프로젝트가 관세협상의 키···K-조선, 전략외교 중심에 서다
- 與·재계 "관세 협상 결과 환영"···野 "세율은 적절, 내용 따져봐야"
- [일문일답] 김용범 "농산물 추가개방 없다···車관세 끝까지 12.5% 주장"
- 기아, 7월 판매 0.3% 증가···"신차 투입해 판매 모멘텀 지속"
- 현대차, 7월 판매 0.5%↑···RV·해외 수요 '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