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정부가 미국의 통화·무역정책과 주요국 경기흐름 등 대외 불확실성에 대한 경각심을 드러냈다.
이에 따라 금융·외환시장 24시간 합동 모니터링 체계를 지속 가동하면서, 필요시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적기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31일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관계기관 합동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이 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는 간밤 진행된 FOMC 동결결정에 따른 금융·외환시장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은 7월 FOMC에서 정책금리를 기존 4.5%에서 5차례 연속 동결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연준은 물가 상승률이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경제전망 상의 불확실성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번 금리 동결 결정에 대해 2명 위원이 반대했다고도 밝혔다.
주목할 점은 향후 통화정책 경로다.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현재의 통화정책 긴축 정도가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관세에 대해선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기 시작했고, 현 시점에서 최종적인 관세 효과를 가늠하기는 어렵다"며 "금리를 서둘러 인하한다면 물가 상승 문제를 해결하지 못 할 것"이라고 못박았다.
이번 FOMC 결과에 대해 시장은 예상에 부합한다는 평가다. 다만 시장내 확산된 9월 금리 인하 기대감에 비해 파월 의장이 신중한 입장을 보임에 따라 미 국채 금리가 상승하고 달러화는 강세를 보였다.
이날 참석자들은 최근 주식·채권시장이 대체로 안정적인 흐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전날 주가지수(KOSPI)가 3254을 기록, 2021년 8월 6일(3270) 이후 4년여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대외 불확실성이 상존한 가운데, 경각심을 가지고 시장 변동성에 예의주시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