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배터리를 생산한다.
17일 LG에너지솔루션은 충청북도와 함께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배터리 국내생산추진 기념행사'를 갖고 에너지산업 생태계 강화 및 기술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논의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은 연말부터 ESS용 LFP배터리 생산 라인 구축을 시작해 2027년부터 본격 가동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초기 생산은 1기가와트시(GWh) 규모로, 향후 시장 수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생산 규모를 확대하는 방침이다. 소재·부품·장비 등 LFP배터리 생태계 발전을 위한 노력도 병행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비 중국권 기업 중 유일하게 ESS용 LFP배터리 양산체계를 갖춘 업체다. 2024년 중국 남경 공장에서 ESS용 LFP배터리 생산에 돌입한 이후 올 6월부터는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도 제품 생산을 시작했다. 이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업체들과 대규모 ESS 계약을 체결, 3분기 말 기준 약 120GWh에 육박하는 수주 잔고를 확보한 상태다. 신규 및 기존 고객들과 추가적인 계약 논의도 진행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국내 ESS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해 이러한 성공 경험과 노하우를 오창 에너지플랜트에 이식한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ESS 시장에서 LFP배터리는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 원가 경쟁력이 높고, 발화 가능성 및 화재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아 안전·가격 측면에서 ESS에 최적화된 배터리로 평가되서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 등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현재 글로벌 ESS 시장의 90% 이상이 LFP배터리를 기반으로 구축돼 있으며 향후 그 비중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LFP 제품은 전기저장시설 화재안전 기준 시험 결과, 열폭주 상황에서도 화염 없이 연기만 관찰됐고, 인접 모듈로의 전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유해가스 발생, 폭압 위험도 최소 수준으로 억제되는 등 구조적 안전성이 입증됐다. LFP 셀의 높은 품질 역량뿐 아니라 자체 개발한 배터리관리시스템(BMS)과 모듈·팩 설계 기술이 결합된 결과라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김형식 LG에너지솔루션 ESS전지사업부장 상무는 "오창 에너지플랜트는 LG에너지솔루션의 모든 제품 개발과 제조의 허브 역할을 하는 마더팩토리"라며 "이곳에서 ESS용 LFP배터리를 생산하는 것은 국내 ESS산업 생태계의 더 큰 도전과 도약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LG, 지난해 탄소 배출 539만톤 감축···서울 2.2배 산림 조성 효과
- 코스피,外人·기관 동반매도에 3%대 급락···코스닥 900선 붕괴
- 코스피, 美증시 급락에 2%대 하락 출발···코스닥도 900선
- LG·삼성 연달아 찾은 벤츠 수장···'미래 모빌리티 공조' 속도 낸다
- 코스피, 조선·원전 강세···4170선 상승 마감
- LG, 메르세데스 벤츠와 車 부품 사업 협력 확대
- 1~9월 배터리 음극재 적재량 37.4% 증가···中 점유율 94%
- LG엔솔, 타임지 선정 혁신기술로 '우주 배터리' 만든다
- 힘 빠진 개인, 코스피서 645억 순매도···4100선 마감
- [LG그룹 인사 ②] '최장수' 신학철 부회장, LG화학 사업재편 '마지막 숙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