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 영향으로 3%대 급락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도 2%대 하락하며 900선이 붕괴됐다. 간밤 뉴욕증시가 인공지능(AI) 산업 고평가 우려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발언에 따른 금리 동결 전망에 급락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14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보다 159.06p(3.81%) 내린 4011.57에 마감했다. 지수는 전장보다 108.72p(2.61%) 내린 4061.91에 출발한 이후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에 하락폭이 확대됐다.

투자자주체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조2844억원, 8160억 원어치 팔아치웠다. 개인은 홀로 30674억원어치 사들였다. 프로그램 매매에선 차익거래 매수, 비차익거래 매도 우위를 보이며 총 2조3914억6600만원의 순매도를 기록했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97.60p(1.65%) 내린 4만7457.22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13.43p(1.66%) 하락한 6737.4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536.10p(2.29%) 급락한 2만2870.36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반도체지수는 3.72% 하락했고, 엔비디아(-3.56%), AMD(-4.21%), 팰런티어(-6.53%) 등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낙폭이 컸고, 테슬라도 6.65% 급락하는 등 투자자들의 우려가 대형 기술주의 집중 매도세로 이어졌다.

업종별로는 대부분 하락했다. 보험(-5.35%), 증권(-4.48%), 금속(-2.70%), 건설(-1.59%), 화학(-1.94%), IT서비스(-3.36%), 금융(-3.58%), 제조(-4.18%), 유통(-1.80%), 비금속(-0.94%), 부동산(-0.27%), 통신(-0.39%) 등이 지수를 끌어내렸다.

시가총액 상위주는 대부분 하락했다. AI 고평가 우려와 12월 금리인하 기대 약화에 더해 NAND 업체인 키옥시아의 실적 부진에 삼성전자(-5.45%)와 SK하이닉스(-8.50%), 한미반도체(-5.92%) 등 반도체 업종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이 외에도 LG에너지솔루션(-4.44%), 현대차(-2.15%), 두산에너빌리티(-5.66%), KB금융(-3.00%),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0%), 기아(-0.85%) 등이 약세로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는 전일대비 20.47p(2.23%) 내린 897.90에 마감했다. 전장보다  17.95p(1.95%) 하락한 900.42에 출발한 지수는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에 2%대 급락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주는 에코프로비엠(-5.88%), 에코프로(-5.07%), 레인보우로보틱스(-5.73%), 펩트론(-0.48%), HLB(-2.56%), 삼천당제약(-3.00%) 등이 하락했다. 알테오젠(0.91%), 에이비엘바이오(6.54%), 리가켐바이오(4.53%), 파마리서치(0.89%) 등은 상승 마감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면서 성장·기술주 섹터의 부담이 증가했다"며 "최근 AI 기업들의 거품 우려가 더해지며 AI 기술주를 중심으로 글로벌 증시 전반의 하락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