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최근 기아의 준중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EV5'를 시승했다. 대형 전기 SUV EV9이 브랜드 전동화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소형 전기 SUV EV3가 진입 장벽을 낮췄다면 EV5는 시장 외연 확대를 주도할 주력 모델로 자리매김한다. 정통 SUV의 선 굵은 외관과 넉넉한 실내, 다양한 첨단 기술을 두루 갖춰 소비자들의 주목이 예상된다.
외관은 최근 전기 SUV들이 추구하는 과도한 독창성 대신, 각진 비율과 군더더기 없는 면 처리로 정통 SUV의 느낌을 강조했다. 별자리에서 영감을 받은 스타맵 주간주행등, 넓은 범퍼 가드, 두툼한 보닛과 사각형 휀더는 파격과 안정 사이에서 균형을 이뤘다. 차체 크기는 길이 4610밀리미터(mm), 너비 1875mm, 높이 1675mm, 휠베이스 2750mm로 내연기관 준중형 SUV 스포티지와 유사했다. 일상 주행에서 부담 없이 다루면서도 도로 위 존재감을 드러내는 크기다.
실내는 짧은 오버행과 긴 휠베이스 덕분에 넉넉한 공간을 확보했다는 것이 기아 측 설명이다. 실제로 1·2열 모두에서 무릎과 머리 공간이 여유롭게 느껴졌다. 뒷좌석 전용 3존 공조, 확장형 슬라이딩 센터콘솔, 시트백 테이블 등 다양한 편의 사양도 갖췄다. 단순히 크기만 넓은 것이 아니라 장시간 머물러도 지루하지 않도록 설계된 점이 인상적이었다. 트렁크 공간은 6:4 비율로 접히는 2열 좌석 등받이를 접어서 늘릴 수 있었다. 제원상 기본 적재 용량은 566리터고, 최대 1650L까지 확장된다.
운전석에는 12.3인치 클러스터와 12.3인치 인포테인먼트, 5인치 공조 디스플레이가 이어진 와이드 스크린이 배치돼 내비게이션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했다. 인포테인먼트에서 설정 가능한 액티브 사운드 디자인은 주행 몰입감을 높이도록 고안됐지만, 실제 주행에서는 오히려 정숙성이 더 강하게 다가왔다. 고속 주행에서도 풍절음과 노면음이 효과적으로 억제돼, 전기 SUV만의 차별화된 주행 감각을 선명하게 느낄 수 있었다.
주행 감각은 편안하면서도 안정적이었다. 프론트 맥퍼슨 스트럿, 리어 멀티 링크 조합에 주파수 감응형 댐퍼와 하이드로 부싱을 적용, 속도·노면에 따라 감쇠력을 달리한 영향이다. 과속 방지턱을 빠르게 넘었을 때도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했다. 굽잇길에서는 배터리 팩으로 낮아진 무게중심과 235/55R19 규격의 타이어가 맞물리며 강한 접지력을 보였다. 전륜 모터 출력은 218마력으로, 평상시에는 부드럽게 반응하다가도 추월 가속이 필요할 때는 즉각적인 힘을 발휘했다.
회생제동 감도는 스티어링 휠 뒤편 패들로 조절할 수 있었다. 45킬로미터(km)가량 달린 후 얻은 전비는 공인 전비 킬로와트시(kWh)당 5.0km를 웃도는 kWh당 6.0km를 기록했다. 기아 측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공기저항계수를 낮추는 등 역량을 기울였다"며 "충전의 경우 350킬로와트(kW) 급속 충전 기준 배터리 잔량 10%에서 80%까지 30분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EV5는 실용성을 기반으로 전기차 특유의 정숙성과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조화롭게 담아낸 모델이다. SUV 본연의 든든한 존재감을 갖추면서도 이동수단으로서 편안함과 효율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기존 내연기관 SUV에 익숙한 소비자에게는 전환 부담을 덜어주는 친근한 대안으로 다가온다. 판매 가격은 4855만원부터 시작하며, 최상위 트림에 모든 옵션을 추가한 값은 5969만원에 이른다.
- 하만인터내셔널, 서울대서 '프리미엄 카오디오 이해' 세션 개최
- 금호타이어, 기아 PV5에 '크루젠 EV HP71' 공급
- "가족용 전기차의 새 기준"···기아, 준중형 SUV 'EV5' 첫선
- 기아, 8월 25만3950대 판매···전년比 0.8%↑
- 기아, 7월 판매 0.3% 증가···"신차 투입해 판매 모멘텀 지속"
- "전기차 대중화 이뤄낼 전략 모델"···기아, 'EV5' 디자인 공개
- 현대차그룹, 전기차 글로벌 누적 판매 100만대 돌파
- 테슬라·BYD 고공행진···국산차, 하반기 신차로 '반격'
- 전기차 고객 30·40대 61.7%···20대 구매 123% 급증
- 기아, 광명시와 손잡고 전기차 기반 커뮤니티 카셰어링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