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성동·광진·마포구 등 강북 한강벨트 비규제지역을 중심으로 상승 거래가 이어지며 6.27 대출 규제 이후 둔화세를 보였던 아파트값 상승세가 확대되는 모습이다.
1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둘째 주(9월8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9% 올라 지난주(0.08%)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6.27 대출 규제 이후 8월 첫 주 조사(0.14%)를 제외하고는 줄곧 상승폭이 축소됐는데 5주 만에 다시 상승폭을 키운 것이다.
구별로 보면 강북 14개 구에서는 △성동구(0.27%)는 금호·옥수동 역세권 △광진구(0.20%)는 광장·자양동 주요 단지 △마포구(0.17%)는 공덕·상암동 △중구(0.16%)는 신당·황학동 대단지 △용산구(0.14%)는 문배·이촌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 11개 구에서는 △강남구(0.15%)는 대치·개포동 재건축 추진 단지 △서초구(0.14%)는 반포·잠원동 주요 단지 △영등포구(0.11%)는 여의도·영등포동 중소형 규모 △양천구(0.10%)는 목·신정동 대단지 위주로 올랐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역세권·대단지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하고 상승거래가 체결되는 등 서울 전체 상승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 전환으로 수도권 전체로도 지난주 0.02%에서 이번주 0.03%로 5주 만에 오름폭이 커졌다. 경기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동일하게 보합세가 이어졌고, 인천은 10주간의 하락을 멈추고 보합 전환했다.
전국 아파트값은 0.01%로 4주 만에 올랐지만 지방(-0.02%) 아파트값은 이번주에도 약세가 지속되며 양극화가 이어졌다. 5대 광역시(-0.03%→-0.02%)는 내림세가 0.01%포인트 축소됐고 8개 도(-0.01%→-0.01%)는 유지됐다. 세종시는 직전 주 보함에서 -0.05%로 하락 전환했다.
가을 이사철이 시작되면서 전셋값도 꿈틀거리는 모습이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3% 상승해 전주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7% 올랐고, 경기도는 지난주 0.02%에서 이번주 0.03%로 오름폭이 소폭 확대됐다. 인천은 0.01% 상승해 전주와 같은 변동률을 보였다. 이에 따라 수도권은 지난주 0.03%에서 0.04%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지방은 0.02%에서 0.01%로 소폭 축소됐다. 시도별로는 △울산(0.07%) △경기(0.03%) △부산(0.03%) △광주(0.02%) 등은 상승한 반면 △대전(0.00%)은 보합을 나타냈고 △제주(-0.04%) △전남(-0.03%) △강원(-0.03%) △충남(-0.02%) △대구(-0.01%)는 하락했다.
- 李대통령 "부동산 안정 위해 끊임없이 투기수요 통제해야"
- [李정부 100일⑦] 대출 조이고 공급은 확대···집값 안정 '속도전'
- 9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 75.6···전월比 0.5p 상승
- 하반기 서울 아파트 분양 '반토막'···전년比 70% 감소
- 경기도 아파트 공급 가뭄···입주 물량 10년 만 최저
- 계속된 대출 규제 직격탄···가계대출 급감·실수요자 불만 확산
- 작년 '로또 청약' 래미안 원펜타스 만점 통장, 알고보니 '위장전입'
- 서울 전세 매물 감소에…전세수급지수 47개월 만에 최고
-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2주 연속 확대···비규제지역이 견인
- 한국부동산원, 규범준수·부패방지 경영시스템 인증 취득
-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3주째 확대···한강벨트 들썩
-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4주째 확대···한강벨트가 주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