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한국부동산원)
(자료=한국부동산원)

[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서울 아파트값이 3주째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성동·마포·광진·송파·강동·용산구 등 이른바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들썩이고 있다.

2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넷째 주(22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0.19%로, 직전 주(0.12%) 대비 0.07%포인트(p) 커졌다.

이달 들어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은 3주째(0.08%→0.09%→0.12%→0.19%) 확대 흐름이 이어졌다. 정부의 9·7 공급 대책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값이 외려 오름폭을 키우는 셈이다. 특히 한강벨트 비규제지역의 오름폭이 확대되며 상승세를 주도하는 양상이다.

구별로 보면 강북 14개 구에서는 △성동구(0.59%)는 금호·행당동 역세권 △마포구(0.43%)는 성산·공덕동 △광진구(0.35%)는 자양·광장동 학군지 △용산구(0.28%)는 이촌동·원효로4가 △중구(0.27%)는 신당·중림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 11개 구에서는 △송파구(0.35%)는 잠실·가락동 주요 단지 △강동구(0.31%)는 암사·명일동 △양천구(0.28%)는 신정·목동 대단지 △영등포구(0.24%)는 신길·여의도동 역세권 위주로 올랐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역세권 등 선호 단지 위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가 포착되면서 서울 전역의 아파트값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 폭도 0.04%에서 0.07%로 직전 주 대비 0.03%포인트(p) 올랐다. 경기도는 아파트값 상승 폭이 0.01%에서 0.03%로 커졌다. △성남시 분당구(0.64%) △광명시(0.24%) △과천시(0.23%) △안양시 동안구(0.14%) △하남시(0.13%)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인천은 보합(0.00%)을 유지했다.

지방의 하락 폭은 직전주(-0.01%)와 동일했다. 5대 광역시(-0.02%)는 지난주와 같은 내림폭을 유지했고 지난주 0.10%로 상승 전환한 세종시는 0.05% 올라 상승폭이 축소됐다. 8개 도는 보합을 유지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0.03%로, 오름폭이 3주 연속 확대됐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직전주(0.03%) 대비 0.01%p 상승한 0.04%를 나타냈다. 서울(0.09%)·경기(0.05%)·인천(0.04%)의 전셋값 상승률이 모두 직전주보다 확대되며 수도권 전셋값 상승률이 한 주 새 0.04%에서 0.06%로 커졌다.

같은 기간 지방의 전셋값 상승률은 0.01%에서 0.03%로 확대됐다. 시도별로는 △울산(0.07%) △부산(0.06%) △경기(0.05%) △인천(0.04%) △광주(0.03%) 등은 상승한 반면 △제주(-0.05%) △강원(-0.03%) △전남(-0.02%)은 하락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