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은 국내 최대 해운선사 HMM의 인수를 검토하기 위해 삼일PwC, 보스턴컨설팅그룹, 대형 로펌 등과 계약을 맺고 자문단을 꾸렸다 (사진=각 사)
포스코그룹은 국내 최대 해운선사 HMM의 인수를 검토하기 위해 삼일PwC, 보스턴컨설팅그룹, 대형 로펌 등과 계약을 맺고 자문단을 꾸렸다 (사진=각 사)

[서울파이낸스 김완일 기자] 포스코그룹이 국내 최대 해운선사 HMM 인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그룹은 삼일PwC, 보스턴컨설팅그룹, 대형 로펌 등과 계약을 맺고 자문단을 꾸려 HMM의 사업성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HMM은 오는 12일까지 자사주 공개매수를 진행 중이다. 이에 대주주인 산업은행(36.0%)과 한국해양진흥공사(35.7%)가 모두 매수 의지를 밝힌 가운데, 거래가 마무리되면 산은과 해진공 보유 지분은 각각 30%대 초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그룹은 산은 보유 지분을 인수해 최대 주주에 오르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HMM의 시가총액이 23조원에 이르는 만큼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단독 경영 보단 해진공과의 공동 경영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주력인 철강 사업의 부진과 신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이차전지 소재 사업도 예상보다 성과가 더딘 상황에서 포스코그룹은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가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해운업 진출을 통한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어 HMM 인수를 검토하는 것으로 업계는 내다봤다. 

다만 인수에 관해 일각에서 재무 리스크, 자본 효율성 측면에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최용현 KB증권 연구원은 "포스코홀딩스 2분기 기준 현금성 자산은 16조5000억원(순차입금10조9000억원)으로 HMM 지분 30% 인수는 가능하나 올해 설비투자 계획이 8조8000억원이고 철강, 이차전지 업황이 좋지 않은 점, 포스코이앤씨 사고 관련 현금 유출 리스크가 있다는 점에서 HMM 인수가 재무 부담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이에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향후 성장성이 유망하고 그룹 사업과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하는 수준"이라며 "인수 여부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