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 회담을 계기로 양국 산업 협력이 한층 확대되는 가운데, 대한항공이 항공기·엔진 구매 등 70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추진한다. 한미 간 항공 협력 강화는 물론 미주 노선 수익성 제고를 겨냥한 선제적 조치로 평가된다.
대한항공은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윌러드 호텔에서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스테파니 포프 보잉 상용기부문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 러셀 스톡스 GE에어로스페이스 상용기엔진 사장 겸 CEO 등 각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보잉 차세대 고효율 항공기 103대 구매(362억달러·약 50조원), 예비 엔진 19대 도입 및 정비 계약(137억달러·약 20조원)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각각 체결했다.
구매 기종은 △B777-9 20대 △B777-8F 8대 △B787-10 25대 △B737-10 50대로,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결과적으로 기단은 B777·787·737과 A350·A321네오 등 5개 기종 체제로 재편돼 운영·정비 효율성이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GE에어로스페이스로부터 도입할 예비 엔진 19대 역시 확대되는 항공기 운영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이며, 이와 함께 향후 20년간 항공기 28대 대상 엔진 정비도 제공받는다. 회사 측은 "선제적 투자로 고객 만족을 높여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이번 투자는 대한항공이 수십 년간 이어온 한미 항공 협력의 연장선으로 분석된다. 대한항공은 보잉·GE에어로스페이스 외에도 프랫앤휘트니·허니웰 등 주요 항공 업체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고, 델타항공과는 태평양 노선 공동사업을 통해 양국 국민들의 이동 편의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핵심 성장축인 미주 노선 경쟁력 강화라는 현실적 배경도 깔려 있다. 지난해 대한항공 국제 여객 매출에서 미주 노선 비중은 38%에 달했으며, 미주행 주간편도 운항편수도 109회로 전체 44%를 점유했다. 이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미국 내 교민 증가와 국내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에 따른 비즈니스 수요, 여기에 환승 흐름까지 뒷받침되고 있어서다. 이 같은 맥락에서 항공기 구매 물량의 절반 이상을 중장거리용으로 선택한 것은 미주 네트워크를 강화하려는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는 만큼 재무 여력에 대한 시장의 시선도 쏠린다. 대한항공의 재무구조는 업종 특성상 여전히 레버리지가 높은 편이지만, 현 시점에서는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평가다. 상반기 연결기준 부채비율은 311%, 차입금은 17조9000억원, 현금성자산은 6조1000억원으로 순차입금은 11조8000억원을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잉여현금흐름(FCF)을 고려할 때 공격적인 기재 구매 계획은 충분히 소화 가능하다"며 "2026년 이후 아시아나항공과의 통합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와 신기재 도입에 따른 연료비 절약까지 더해지면, 이익 체질은 한층 탄탄해질 것"이라고 봤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투자는 창사 이래 최대 규모"라며 "여객과 화물 운송을 통해 한국과 미국을 긴밀히 연결하는 날개 역할을 다하는 동시에, 지속적인 대미 투자를 통해 양국 간 우호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한경협, 韓美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개최···첨단산업·공급망 협력 논의
- 대한항공, 70조 대미 투자 발표···보잉기 103대·GE 예비엔진 19대 도입
- 대한항공, 추석 연휴에 제주행 마일리지 특별기 띄운다
- 통합 대한항공, 장거리 운임·정비비 절감으로 수익성 '레벨업'
- [한미정상회담] '불공정 계약' 논란에 위축된 원전···대미 투자로 반등 기회 모색
- 대한항공, 업사이클링 보조배터리 파우치 판매 수익금 전액 기부
- '한미동맹' 총대 멘 한진그룹, '70조 역대급 투자'에 재무부담 더 커지나
- [CEO&뉴스] 이수근 한국공항 사장, '사업 다각화'로 활로 모색···기업가치 제고 속도
- 항공대 찾은 제임스김·조원태···경영철학·리더십 공유
- 보잉 "한국은 글로벌 핵심파트너, 민항·방산 협력 강화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