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신한금융그룹이 보이스피싱 피해자 지원과 예방을 위해 3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신한금융은 2일 서울시 중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본사에서 금융감독원,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보이스피싱 피해자 지원 및 예방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업무협약은 최근 다양한 수법의 보이스피싱(전기통신 금융사기)으로 피해를 입은 취약계층이 급증함에 따라 이들에 대한 지원을 펼치고자 마련됐다.
신한은행은 3년간 총 300억원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탁한다. 이를 통해 △피해자 중 취약계층 생활비 지원(180억원) △예방교육 및 보이스피싱 보험 제공(15억원) △심리·법률상담(30억원) △대국민 홍보 및 캠페인·정책개발(75억원) 등의 다양한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먼저,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은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180억원 규모의 생활비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약 6000명에게 1인당 최대 300만원을 지원하는 내용이 골자다.
보다 실효성 있는 지원을 위해 신한금융 고객뿐 아니라 중위소득 100% 이내 저소득층 피해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 하반기 중 모집공고를 통해 접수를 시작할 예정이며 심사 과정을 거쳐 대상자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보이스피싱 예방교육 및 보험 제공을 위한 15억원 규모의 사업을 진행한다. 사회초년생과 고령층을 대상으로 자립지원전담기관, 학교, 노인복지센터 등 유관기관과 연계한 보이스피싱 예방교육을 실시한다. 보이스피싱 보험상품 제공을 통해 피해 사후관리활동도 적극 시행한다.
보이스피싱 피해로 인한 우울증 등 2차피해 예방을 위한 심리치료 및 법률자문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 신한은행의 '우리가족 암호만들기 대국민 캠페인'과 같은 피해예방 콘텐츠를 활용한 홍보 및 캠페인, 정책개발 등을 위해 75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투입할 계획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복현 금감원장과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김병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이 참석했다.
진 회장은 "보이스피싱 피해로 곤경에 처한 금융소비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이번 사업을 진행하게 됐다"며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을 위한 세심한 지원 및 예방 노력을 통해 기업시민으로서 선한 영향력을 전파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금액 1451억···인뱅 피해액 급증
- 금감원, 올해 은행권 '비대면 생체인증 인프라' 구축 지원
- 신한은행, 전 영업점에 'AI 이상행동탐지 ATM' 확대 도입
- "대학입시·연말정산 보이스피싱 주의하세요"···금감원, '소비자 주의보'
- 이복현 금감원장 "보이스피싱 위험 커져···홍보·포상 등 추진"
- 신한은행, 도쿄 키라보시 금융그룹과 디지털 업무협약
- 신한은행, 페이코와 손잡고 사회초년생 소액대출 선봬
- 이복현 "외국인투자자 등록의무 폐지 등 한국 시장 접근성 높일 것"
-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고액 기부자 모임 가입
- 신한은행, 창구 얼굴 출금 서비스 시행
- [보이스피싱과 전쟁上] 정부, '피해자 양산' 사각지대 손본다
- [보이스피싱과 전쟁下] 금융권 대응책 '속속'···피해자 구제도 시급
- [CEO&뉴스] 진옥동 회장, '고객중심' 철학으로 상생경영 앞장
- 신한금융, 'ESG 데이터 플랫폼' 구축···공시 의무화 대응
- 신한금융, 3년간 대한핸드볼협회 공식 후원
- 신한은행, '보이스피싱 모니터링 영상확인 시스템' 도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