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올해 전 세계 상반기 선박 수주가 2014년 이후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한국 조선업계가 중국과의 간발의 차로 2위를 차지했다.
6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상반기 전세계 누계 수주량은 전년 동기824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 대비 192% 증가한 2402만CGT로, 이 가운데 중국이 1059만CGT(44.1%)를 수주해 1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경우 지난해 동기(135만CGT)와 견줬을 때 약 7배 오른 1047만CGT(43.6%)규모의 건조계약을 따내면서 2위에 올랐다. 3위는 182만CGT(68척, 8%)를 수주한 일본이 자리했다.
한국의 상반기 수주 선종을 살펴보면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14만㎥ 이상) 16척 전량, 유조선 51척 중 42척(82%),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72척 중 52척(72%), 컨테이너선(1만2000TEU급 이상) 148척 중 81척(55%) 등으로 주로 컨테이너선과 대형 LNG선, 초대형 유조선(VLCC) 등 대형선 중심으로 수주를 따내고 있다.
시장에서는 뒷심을 발휘하고 있는 한국이 하반기에 중국을 추월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현재 양국간의 격차는 12만CGT로 좁혀진 상황이다. 12만CGT는 1만5000TEU급 컨테이너선 2척 정도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난달 전 세계 선박 수주량(415만CGT·131척) 부문에서는 한국이 182만CGT(40척·44%)를 수주하면서 5월에 이어 1위 자리를 공고히 했다. 2위는 중국 157만CGT(63척·38%), 3위는 일본 30만CGT(14척·7%)순이었다.
전 세계 수주잔량은 전월 대비 173만CGT(2%) 증가한 8091만CGT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중국 3041만CGT(38%, 전월 比 1%↑)에 이어 한국 2673만CGT(33%, 5%↑), 일본 866만CGT(11%, 1%↓) 순이다.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138.5p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는 지난 2017년 3월 최저점 121.4p 대비 4년간 14% 상승한 수치다.
선종별 선가 추이를 살펴보면 모든 선종에 걸쳐 상승했다. 1만3000~1만4000TEU 컨테이너선은 전월 대비 550만 달러 상승한 1억2800만 달러를, VLCC는 250만 달러 오른 975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에즈막스(S-max) 유조선 역시 200만 달러 오른 6500만 달러, 아프라막스(A-max) 유조선도 50만 달러 오른 5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7만4000㎥ LNG선도 100만 달러 오른 1억 9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 대우조선해양, 업계 최초 비대면 품질검사 기술 개발
- 조선업계, 올해 목표치 70% 넘었다···초과달성 기대감 '쑥'
- 해운업계, IMO 현존선 규제 대응방안 논의···29일 온라인 세미나
- 韓 조선업, 5월 수주 1위 '재탈환'···친환경 선박 '8할'
- 조선·해운사, 코로나 딛고 IPO '순항'···9월 증시 입성 '청신호'
- 조선업계, 코로나19 회복 진입···"2031년까지 중장기 호황 전망"
- 韓 조선업, 4월 전세계 수주량 中에 1위 내줘
- 韓 조선업계, 올들어 세계 LPG선 발주량 75% 수주···LNG선 이어 '싹쓸이'
- [CEO&뉴스] 한국조선해양 가삼현號가 이끄는 'ESG경영'
- 조선업계, '2050 탄소중립' 동참 선언···'조선탄소중립위' 출범
- 韓 조선업, 1분기 수주량 '작년 10배'···'영광' 재연할까
- [초점] 항공업계, 2분기도 '부익부 빈익빈'···화물사업 '희비'
- 현대重그룹1%나눔재단, 아동양육시설 18곳에 후원금 전달
- '코로나 직격탄' 제주항공, 무상감자·유상증자 추진
- 항공업계, 성수기 운항 수정 검토···'트래블버블' 제동 우려도
- 조선업계, 목표 조기달성에도 '울상'···2Q '어닝쇼크' 불가피
- "조선업계, 하반기 수주 주춤···2023년부터 수익 개선"
- 韓 조선업, 석달 연속 수주 1위···누계 수주량, 2008년 이후 최대치
- 호황 맞은 조선업계, 컨테이너선 발주 분주···해상운임·물동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