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 N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남산 N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김예온 기자] 내년 집값은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반적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4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은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올해보다 0.8%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수도권의 경우 2.0% 상승한 반면, 지방은 0.5% 하락될 것으로 분석했다.

건산연은 신규 입주 물량 감소와 매수세 둔화로 인한 전세 수요 유입, 실거주 목적 수요 확대 등이 맞물리며 올해(1.0% 상승 예상)보다 내년 4.0% 상승폭이 커질 것으로 관측됐다.

김성환 건산연 연구위원은 "누적된 공급 부족과 수도권 중심의 수요 집중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며 "금리 안정세와 실물 경기 개선 기대에도 불구하고 지방 시장의 회복세는 더딜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주택 인허가 물량은 약 47만가구, 분양 물량은 25만가구로 예상되며, 모두 올해보다 증가할 전망이다. 민간 부문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대되겠지만, 공공 부문은 민간이 추진하던 사업을 일부 흡수하는 형태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 전체 공급 규모의 증가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분양시장에서는 신축 선호와 수도권 핵심 지역 중심의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는 반면, 높은 공사비와 각종 규제 영향으로 지역별 양극화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일부 단지는 완판되는 반면, 다른 단지는 미분양이 지속되는 상황이 이어질 전망이다.

한편, 건산연은 내년도 국내 건설 수주 규모가 올해보다 4.0% 증가한 231조2000억원, 건설 투자는 2.0% 늘어난 270조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