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영선 기자] 새 정부가 '생산적금융'을 강조하면서 금융권이 기업 기술 등에 대한 투자를 대폭 늘리고 전담 조직을 구성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인터넷뱅크 3사(카카오·토스·케이뱅크) 역시 정부 기조에 발맞춰 성장성 높은 스타트업과 협업을 진행하는 등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9월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이 841조원으로, 전달 대비 4조원 가량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개인사업자를 포함한 중소기업 대출은 약 2조원 늘어나며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새 정부가 강조한 '생산적금융'으로의 전환을 강조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재명 정부는 우리나라 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금융권에 '생산적금융' 대전환을 주문하고 있다. 부동산에 집중된 대출 구조를 개선해 성장성 높은 첨단·벤처기업으로 자금을 돌리겠다는 취지다.
이런 정부 기조에 금융권도 생산적금융에 주력하고 있다. 먼저 우리금융그룹은 지난달 생산적금융과 포용금융 전환을 목표로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고 밝혔다. 우리금융은 향후 5년간 생산적금융에 73조원, 포용금융에 7조원을 지원하고, 국민성장펀드에 참여한다. 또한 비수도권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16조원 규모의 '우리 지역선도기업대출'을 출시하는 등 맞춤형 투자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우리금융을 시작으로 다른 주요 은행들도 기술보증기금과 협력해 금융지원에 나서는 등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지난 14일 지방금융지주인 BNK금융그룹도 부·울·경 지역에 21조원 규모의 생산적금융 투자 의지를 밝혔다.
이처럼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움직이면서 국내 인터넷뱅크 3사도 '생산적금융' 기조에 발맞추고 있다.
인터넷뱅크는 현행법상 대기업 대출영업이 불가능한다데다, 가계대출 역시 정부의 규제 강화 방침 탓에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이들 3사가 취급하는 대출 중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90%를 웃돈다.
먼저 카카오뱅크는 핀테크 스타트업 성장을 위해 한국핀테크지원센터와 3년째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글로벌 시장 개척을 희망하는 우수 핀테크 기업을 선발해 현지 기업과 교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참가 기업에 항공과 숙박을 비롯한 해외 체류 비용이 지원되며, 귀국 후에도 시장 공략을 위한 맞춤형 컨설팅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에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4개 스타트업 데모데이를 지원, 잠재 파트너사와 연결을 돕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 바 있다. 아울러 금융 사회 안전망 구축을 목표로 핀테크 스타트업을 직접 발굴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우수한 금융·핀테크 기업을 선발해 핀테크 특화 엑셀러레이팅 등을 제공한 바 있다.
토스뱅크도 스타트업 발굴에 나섰다. 토스뱅크는 지난달 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과 서울경제진흥원이 공동 주관하는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인 '2025 3rd S.Stage(Startup Open Stage)'에 은행 단독으로 참여했다. 스타트업과 협업을 통해 금융 혁신 저변을 높인다는 취지로, 토스뱅크는 사업자 신용평가 분야 스타트업을 모집했다.
또한 지난 5월에는 한국무역보험공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수출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비대면 금융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수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 부담을 덜고,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실용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목표다.
케이뱅크는 인공지능(AI) 시스템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어, 관련 스타트업 기업과 협업하고 있다. 올해 3월 케이뱅크는 세무 자동화 스타트업 지엔터프라이즈가 개발한 AI기반 종합 세무 관리 플랫폼 비즈넵과 업무 제휴를 통해 'AI 세무 상담 서비스'를 선보였다. 해당 서비스는 소상공인과 개인사업자를위한 맞춤형 생성형 AI서비스로, 10년차 세무사 수준의 정확도를 갖춘 답변을 제공한다. 케이뱅크는 지난 2023년부터 '종합소득세 돌려받기' 등 AI스타트업과 협업해 서비스를 출시해왔다.
다만 현행법상 인터넷뱅크는 대기업 대출이 불가능하고, 기업대출 영역도 개인사업자 비중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첨단·벤처기업에 적극적인 투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인터넷뱅크의 출범 취지는 비대면 영업 등 금융혁신을 비롯해, 중·신용자의 신용대출 공급을 확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 높은 접근성을 기반으로 최근 시중은행 못지 않은 영향력을 갖춘 만큼 사업 활로를 늘릴 수 있도록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출범 당시부터 큰 규모의 기업대출이 불가능한 인터넷뱅크들은 주요은행들이 구상하고 있는 첨단·벤처기업 투자 규모 정도의 적극적인 생산적금융을 실천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닐 것"이라며 "생산적금융 취지에 걸맞는 소상공인, 스타트업 지원 등을 통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 BNK금융, '생산적금융협의회' 출범
- 막오른 새 정부 첫 국감···이억원·이찬진 역량 시험대
- 우리금융, 생산적 금융 전환·포용 금융에 80조 투입
- KB, 생산적 금융 컨트롤 타워 30일 출범
- 국민성장펀드 5년간 150조 운용···첨단산업 육성
- 금감원장-은행장 첫 간담회···이찬진 입에 쏠린 눈
- 가계대출 막히자 개인사업자로 눈돌린 인뱅3사
-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 "생산·포용금융 강화···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
- 토스뱅크, 아이서비스 보호자 2인 등록 기능 도입
- 카카오뱅크, '증권사 절세계좌 혜택 비교 서비스' 출시
- [신상품] 카카오뱅크 개인사업자 부동산담보대출
- "알짜 고객 잡아라"···인뱅 3사, '대안신용평가' 고도화 경쟁 치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