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김완일 기자] 삼성중공업은 프랑스 선급(BV)으로부터 '암모니아 기반 수소연료전지 추진 원유운반선'의 기본설계 인증(AIP)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암모니아 기반 수소연료전지는 '크래킹 기술'을 이용해 암모니아를 수소와 질소로 분리하고, 분리된 수소를 연료전지에 공급한 후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번 인증은 11만5000톤(t)급 원유운반선에 적용됐으며 저온에서 작동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를 탑재해 빠른 시동이 가능하며 내구성도 우수하다. 또 대용량 암모니아 크래킹 장비와 수소연료전지를 갑판과 엔진룸에 분산 배치해 안전성을 높이고 소음과 진동을 최소한 점이 특징이다.
삼성중공업은 수소연료전지 선박에 국내업체인 파나시아의 크래킹 장비, 빈센이 개발한 연료전기를 적용하며 주요 장비를 국산화 한 것으로 알려졌다. 말레이시아 국영 선사인 MICS와 프랑스 선급이 선박 개발에 참여해 선박 운용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경제성 평가를 진행하게 됨으로써 기술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용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장해기 삼성중공업 기술개발본부장 부사장은 "연료전지는 차세대 친환경 선박의 중요한 추진 장차"라며 "삼성중공업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수소 모빌리티 기술과 제품 개발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창간23 / K-조선③] LNG선·해양플랜트 '투트랙'···삼성중공업, 고부가 해양 포트폴리오 완성
- 삼성重, 세계 첫 '소형 모듈 원자로 추진 LNG운반선' 인증 나선다
- 삼성중공업, 美 MRO 전문 조선사와 파트너십 체결
- 韓 조선 빅3 해외 거점 확장···현지화로 지속가능성 모색
- 삼성重, LNG운반선 6척 수주···2조1000억원 규모
- 삼성중공업, AI 자율운항시스템 통해 태평양 횡단···기술 실증 성공
- 삼성중공업, 인도 조선시장 진출···글로벌 생산 거점 확대 박차
- [수소 모빌리티 로드맵③] 산업현장·대중교통으로 번지는 수소 물결
- 삼성중공업, 3분기 영업이익 2381억···전년比 99%↑
- 삼성중공업, '조선용 로봇' 개발 착수···베트남서 선박 건조 병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