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편의점에 소비쿠폰 사용 안내 문구가 붙어있다. (사진=박소다 기자)
서울의 한 편의점에 소비쿠폰 사용 안내 문구가 붙어있다. (사진=박소다 기자)

[서울파이낸스 박소다 기자] 정부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소상공인 매출 증가, 소비심리 개선, 지역사회 나눔 확산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낳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세 상인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매출 상승이 두드러졌고, 취약계층 지원과 공동체 활성화에도 기여하며 경제 선순환의 마중물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18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은 신청 마감일인 지난 12일 기준 전체 대상자의 99.0%인 5008만여명이 신청했고, 총 9조693억원이 지급됐다.

신용·체크카드만 지급된 소비쿠폰은 6조177억원으로, 이 가운데 88.1%에 해당하는 5조2991억원이 9월 14일 24시 기준 사용 완료됐다 

사용처는 음식점(40.3%), 마트·식료품(15.9%), 편의점(9.5%) 등 생활 밀착형 업종에 집중됐으며, 병원·약국, 학원, 의류·잡화 등 다양한 업종에서도 고루 소비가 이뤄졌다.

경제 지표도 개선 흐름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심리지수는 7월 110.8, 8월 111.4로 상승하며 7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통계청의 7월 산업활동동향에서는 생산·소비·투자가 모두 증가하는 '트리플 상승'이 확인됐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 대비 2.5% 증가해 29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을 보였다.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체감경기지수는 각각 72.3, 75.6을 기록했으며, 9월 전망치도 각각 88.3과 85.5로 고무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소상공인연합회와 전국상인연합회가 실시한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55.8%가 "매출 증가를 체감했다"고 답했고, 이 중 절반 이상은 10~30%의 매출 증가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소비쿠폰의 효과는 특히 영세 가맹점에서 두드러졌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연 매출 3억원 이하 가맹점의 매출은 쿠폰 지급 후 평균 15.4% 증가해 가장 큰 수혜를 입었다. 이는 연 매출 5억원 이하(6.4%), 10억원 이하(5.9%) 가맹점보다 두 배 이상 높다. 가맹점주의 개인 소비도 늘어 3억원 이하 가맹점주의 카드 사용액은 12.6% 증가했다.

소비쿠폰은 단순 소비를 넘어 지역사회 나눔과 연대로 확산됐다. 세종의 한 고등학생은 쿠폰으로 커피 50잔을 지역 소방서에 전달했고, 수원, 보령, 홍성 등에서는 학생과 시민들이 간식과 음료를 경찰서·소방서에 기부했다. 명동 수녀들은 730만원 상당 식료품을 주민센터에 기부하는 등 전국에서 따뜻한 나눔이 이어졌다.

지방자치단체들도 소비쿠폰 사업을 복지서비스와 연계해 취약계층 지원에 나섰다. 7월 21일부터 9월 12일까지 전국적으로 40만2614건의 '찾아가는 신청'이 이뤄졌으며, 구리시는 간호사 동행을 통한 건강 체크와 식료품 지원을, 부천시는 주거 실태 파악 후 청소·도배 등 생활환경 개선 서비스까지 제공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소비쿠폰이 단순한 소비 진작을 넘어 골목상권 회복과 지역 공동체의 온기 확산으로 이어졌다"며 "22일부터 시작되는 2차 지급에서도 가치 소비가 더욱 확대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