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은 26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한화필리조선소에서 미국 해사청이 발주한 국가안보다목선박의 명명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한화 측은 필라조선소에 50억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한화그룹은 26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한화필리조선소에서 미국 해사청이 발주한 국가안보다목선박의 명명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한화 측은 필라조선소에 50억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밝혔다 (사진=한화그룹)

[서울파이낸스 김완일 기자] 한화그룹이 미국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한화필리조선소에 50억달러(약 7조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필리조선소의 연 선박 건조 능력은 20척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26일(현지시간) 한화필리조선소에서는 미국 해사청이 발주한 국가안보다목적선박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 명명식이 열렸다. 이 자리에는 방미 중인 이재명 대통령과 조현 외교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이 참석했으며, 미국 측에서는 조쉬 샤피로 펜실베니아 주지사, 토드 영 인디애나주 상원의원 등이 함께했다. 한화그룹에선 김동관 부회장,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이사, 마이클 쿨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글로벌부문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한화그룹은 이날 행사에서 50억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공개했다. 투자 재원은 한미 관세 협상 과정에서 조성된 1500억달러 규모 조선산업 협력펀드가 주요 기반이 될 예정이다. 

이번 투자를 통해 한화필리조선소는 도크 2기, 안벽 3기와 12만 평 규모의 블록 생산기지를 신설해 현재 연간 1~1.5척 수준인 건조 능력을 20척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또한 자동화 설비와 스마트 야드 시스템을 도입해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군함 블록·모듈 건조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같은 날 한화해운은 한화필리조선소에 중형 유조선 10척과 LNG 운반선 1척을 발주했다. 이는 마스가 프로젝트와 관련된 첫 대규모 발주로, 중형 유조선은 필리조선소가 단독 건조하며 첫 인도는 2029년 초로 예정돼 있다. LNG 운반선은 국내 거제조선소와 공동 건조된다. 한화 측은 이번 발주가 미국산 에너지 수출 시 미국 선박 사용을 의무화 하는 내용의 '존스법'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환영사에서 "한미 양국이 함께 조선산업을 재건하고 선박 건조 역량을 확장하며 미래 산업을 이끌 숙련 인재를 양성하는 성과가 현실화되고 있다"며 "한화는 미국 조선산업의 든든한 파트너로서 중추적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