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6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가 4년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정부의 6·27 대출 규제 직전 서울 아파트 시장에 매수세가 집중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19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공동주택 실거래가지수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2.51%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1.23%의 2배 수준으로, 2021년 1월 3.17%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다.
실거래가지수는 시세 중심의 가격 동향 조사와 달리 실제 거래된 실거래가격을 동일 단지, 동일 주택형의 이전 거래 가격과 비교해 지수화한 것이다. 실거래가지수가 오른 것은 해당 월의 거래가격이 이전 거래가보다 높은 금액에 팔린 경우가 많았다는 의미다.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올해 1월부터 상승하다가 강남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일시 해제된 지난 3월에는 1.53%를 기록했다. 다주택자 규제로 '똘똘한 한 채' 열풍이 불며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지역에 매수세가 몰려 6월 들어 실거래가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7월 시행된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이전 집을 사려는 수요도 더해졌다.
권역별로는 강남3구와 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의 실거래가지수가 3.73% 오르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2020년 7월(4.66%) 이후 4년11개월 만에 최대 상승이다.
또 마포·서대문구 등이 있는 서북권이 2.90%, 영등포·양천·동작구 등이 있는 서남권이 2.37% 상승했다. 종로·용산구 등이 있는 도심권은 2.05%, 노원·도봉·강북구 등이 있는 동북권은 1.75% 올랐다.
6월 인천과 경기도의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도 각각 0.30%, 1.34% 뛰면서 수도권 전체 실거래가지수는 전월(0.66%)보다 높은 1.67% 올랐다. 수도권의 강세와 함께 지방 아파트도 0.47% 뛰면서 전국 실거래가지수는 1.14% 상승했다. 이는 2021년 9월(1.93%)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 김윤덕 국토장관 "주택 공급대책 늦어도 9월 초 발표"
- 6·27대책 여파에 7월 서울 집값 상승 폭 축소
- 6.27 규제 여파, 7월 전국 주택 매매 심리 '급랭'
-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 둔화···"6.27대책 여파에 관망세"
- '지방 부동산 시장 살린다'···세컨드홈 특례·미분양 매입 강화
- 6.27대책 여파···8월 서울 주택사업 전망 '급감'
- 국토부 규제 110건 '최다'···"건설업, 과도한 규제 시달려"
- 서울 아파트값 30주째 상승···강남·용산 중심 회복세
- 전국 아파트값 보합 전환···서울 상승폭 축소 지속
- 경기도 3.3㎡당 평균 분양가 5년 새 최대 3600만원 올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