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종규 코리안리 대표(왼쪽부터),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대표가 지난 13일 홍콩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인베스트 케이파이낸스(INVEST K-FINANCE): 홍콩 IR 2024' 이후 기자들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박조아 기자)

[서울파이낸스 (홍콩) 박조아 기자] 밸류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당국의 추가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금융권의 의견이 나왔다. 

홍콩에서 개최된 '인베스트 K-파이낸스 홍콩IR 2024'에 참석한 금융지주 회장들이 한목소리를 냈다.

이 외에 불공정 행위를 한 기업을 빠르게 증권시장에서 퇴출시켜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은 지난 13일(현지시간) 홍콩에서 개최된 '인베스트 K-파이낸스 홍콩IR 2024(INVEST K-FINANCE: HONG KONG IR 2024)' 이후 기자들과 만나 "수많은 투자자 미팅을 하다보면 공통적으로 정부나 금융당국의 규제 환경에 대한 의구심을 끊임없이 제기한다"며 "밸류업이라는 게 주주환원율을 높이고 하면 주가가 저절로 오를거라고 생각하지만, 정부나 금융당국의 추가적인 (지원) 조치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밸류업에 대해) 투자자들의 관심을 갖고 있지만, 단순히 밸류업을 갖고 그걸 공시해라 해서 되는게 아니라 정부에서 다양한 인센티브나 뭔가를 제공해야만 진정성이나 탄력을 받는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함 회장은 "주가가 상승해 오는 투자 이익이 가시적으로 더 클 것이라 예상해서 그러겠지만, 해외 주식에 관심을 갖고 있는 투자자들이 많다"며 "우리나라는 왜 그런 믿음과 희망을 안줬는지 심도 있는 고찰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은 한국 자본시장의 문제점이 '정보의 불균형성'에 있다고 지적했다. 또 밸류업 프로그램의 성공의 키가 한국 자본시장 참여자들의 '신뢰 회복'에 있다고 주장했다.

진 회장은 "밸류업 공시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입장에서 공시한 계획 수준과 시장과 약속한 부분이 얼마나 성실하게 지켜질 것인가 하는게 중요하다"며 "정부 입장에서 많은 노력을 진행하고 있지만,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느냐가 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증권거래위원회(SEC)에서 기업공개(IPO) 문턱을 높여놨는데, 돈이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가면서 가격이 뛸 수 밖에 없다"며 "퇴출 절차 등이 단기간에 개선되진 않겠지만 결국 이를 통해 신뢰가 쌓여야 개인투자자들도 돌아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이 주관하고 하나금융그룹이 간사를 맡은 이번 홍콩 IR(Investor Relations)에는 K-금융의 경쟁력과 비전을 전 세계에 전파하기 위해 대한민국 금융권을 대표하는 주요 금융사와 서울시, 부산시, 한국거래소가 참여했으며, 해외투자 유치 및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패널토론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