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LG CNS가 고객에 최적화된 인공지능(AI) 서비스를 패키지로 제공하는 'AI 서비스 for X' 사업에 나서며, 'AI 주기율표'를 본격 도입했다고 24일 밝혔다.
AI 서비스 for X는 AI를 적용할 수 있는 영역을 'X'로 정의하고, 다양한 산업 영역별로 AI 성공사례와 적용된 솔루션, 플랫폼 등을 사전에 검증했다. 성공사례, 솔루션, 플랫폼 등을 고객별 최적의 조합으로 그룹 지어 고객에게 제공하는 비즈니스다. LG CNS는 AI 서비스 for X를 통해 고객들의 업무에 AI를 빠르게 적용하고 DX 고객경험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LG CNS는 △언어AI △시각AI △데이터AI △복합AI △AI 학습용 데이터 준비 등 5개 영역에 해당되는 52개 AI 비즈니스 사례로 AI 메뉴판 격인 AI 주기율표를 제작했다. AI 주기율표에는 △소셜 수요 예측 △작업자 이상행동 감지 △법인카드 이상 사용 감지 △챗봇 △AI 무인시험감독관 등 고객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사례가 포함됐다.
고객은 AI 주기율표를 통해 AI 적용 분야를 찾아내고, 의사 결정자가 판단하는 중요성과 시급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해 우선과제를 도출할 수 있다. 투자비용과 리스크를 고려한 ROI(투자 수익률) 평가를 통한 상세 전략도 수립 가능하다.
LG CNS는 이미 다양한 고객사로부터 검증된 AI 사업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고객상담 영역에서는 신한카드, KB금융그룹, 우리은행 등 메이저 금융사들의 AI컨택센터와 챗봇을 구축하며 AI 성능을 검증받았고, 현재는 현대자동차의 AI 컨택센터를 구축 중이다. 제조, 물류현장에서 AI로 제품 품질을 측정하고 불량을 검출하는 품질검사 영역은 롯데글로벌로지스, LG에너지솔루션 등의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업무자동화, 사기거래 탐지, 보험심사 자동화 AI는 KB국민은행, KB손해보험, 농협중앙회 등의 구축 성공사례를 보유했다. 마케팅, 수율 극대화, 공급망 최적화 등은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화학 등 LG계열사 들로부터 검증받은 AI 패키지다.
LG CNS는 AI 서비스 for X를 고객사 비즈니스와 IT 환경에 맞게 구축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의 SaaS 형태로도 제공하고 있다.
LG CNS는 어떤 업무에 AI를 적용해야 하는지, 어떤 AI 기술을 활용해야 하는지를 찾아내는 등 기업고객의 페인포인트를 분석하는데 'AI 디스커버리'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AI 디스커버리로 고객과 함께 약 두 달 간의 컨설팅을 진행하고, AI 과제 발굴과 전략을 수립한다.
LG CNS는 AI 기술과 LG CNS가 30년 이상 집대성한 '소프트웨어 방법론'을 결합해, AI를 고객에 적용하는 엔진인 '소프트웨어 with AI'도 만들었다.
AI로 구축된 소프트웨어는 전통적인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유기적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AI 챗봇은 기존의 콜센터 시스템과, 품질 검사 비전AI는 생산라인 시스템과, 상품 인식 비전AI는 택배 물류 검수 시스템과, 예측 분석 AI는 보험 심사 시스템과 연동되는 식이다.
LG CNS는 기업고객의 AI 시스템 구축 시 설계, 개발, 유지보수까지 전 사이클에 대한 표준과 구축방법을 제공해 AI 서비스 for X를 실현하는 엔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LG CNS는 AI 서비스 for X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AI 신기술을 제공할 계획이다. 언어AI로 가상상담원의 목소리와 멘트를 구현하고, 비전AI로 아나운서 등 실제 인물을 가상화해 금융사 무인점포 AI뱅커 서비스에 멀티모달 기술을 적용한다. 은행 점포를 메타버스로 가상화해, 소비자의 아바타가 가상점포를 돌아다니며 계좌를 개설하고 대출 상담을 받는 등의 '메타버스 컨택센터(MVCC)' 서비스도 개발 중이다.
LG CNS는 최근 '언어 AI LAB'을 신설하고, 기존에 운영하던 '비전 AI LAB', '데이터 AI LAB', 'AI 엔지니어링 LAB'과 함께 4대 AI 연구소(LAB) 세팅을 완료했다. △언어 △시각 △데이터 △시스템 구축 등으로 연구 분야를 세분화해 AI 기술을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또한 AI·데이터 전문가도 약 800명이 포진돼있다.
현신균 LG CNS D&A사업부장 부사장은 "LG CNS가 수행한 AI 성공 케이스를 바탕으로 기업고객들의 고민과 아이디어를 체계화해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AI 서비스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LG CNS, 부산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 '상장 추진' LG CNS, 1분기 최대 매출·영업익···"IPO 이상 無"
- LG CNS, 상장 절차 돌입···주관사 선정 RFP 발송
- SK네트웍스서비스, '이음5G' 사업 자격 신청
- LGU+-LG CNS, KB금융 '차세대 고객센터' 구축한다
- LG CNS, 4대 'AI 랩' 설립···고객경험 제시
- LG CNS, AI로 농사짓는 '스마트팜 지능화 플랫폼' 구축
- LG CNS, 급여 평균 10% 인상···신입 연봉 6천만원 돌파
- LG전자, 연결성∙디자인 강화한 'LG 룸앤TV' 신제품 출시
- LG 올레드 TV 1분기 출하량 92만4600대 '역대 최대'
- LG엔솔 배터리 탑재 전기차, '세계 최고도 주행' 기네스 기록
- 빅오션이엔엠, 애니펜과 반려동물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구축 '맞손'
- LG전자, 울트라기어 게이밍 모니터 3종 출시
- LGD 첫 투명 OLED NFT 작품, 620만달러에 낙찰
- 우리은행, 초고액 자산가 특화점포 'TCE 시그니처센터' 확장 이전
- LG전자, 협력회 정기총회 "협력사 상생방안 모색"
- LG, 5년간 국내 106조 투자·5만명 채용···"R&D에 48조원 집중"
- LG, 5천억 자사주 취득 계획·새 배당정책안 발표
- LG전자, 英 '올해의 홈 엔터테인먼트 브랜드' 3년 연속 선정
- LG전자, 휘센 주거용 시스템 에어컨 신제품 출시
- "LG 투명 올레드 사이니지, 미디어아트 캔버스로"
- LG전자, 자동차 SW 기능안전 시험기관으로 인정 받아
- [초점] LG CNS '구주매출'에 쏠린 눈···KB증권의 해법은?
- LG전자 밀라노서 '올레드 오브제컬렉션' 선보인다
- LG CNS, '버추얼 팩토리·랩' 사업 본격 추진
- 조주완 LG전자 사장 "산업 간 경계 넘는 디자인 선보일 것"
- [초점] 삼성, 30년 먹거리 LCD 사업 완전 철수···LG는 당분간 유지
- LG CNS, 'AWS 프리미어 티어 파트너' 자격 획득
- LG "청년 AI 인재 年 4천명 양성"···'LG 에이머스' 신설
- LGD, 수출입은행·무역보험공사 등과 OLED 투자 금융 협력
- LG CNS, 물류로봇 구독하는 'RaaS' 시대 연다
- LG CNS, 정부세종청사에 'AI 통합 관제시스템' 구축
- LGD 파주·구미 사업장, '폐기물 매립 제로' 국제 인증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