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7~9월) D램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 업체들과 점유율 격차를 더 벌리며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17일 대만의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분기 D램 매출은 116억8000만 달러(약 13조8000억원)로 전분기(105억1000만 달러) 대비 11.1% 증가했다. 출하량 증가와 가격 상승세에 힘입은 결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의 D램 매출이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4.0%로, 지난 2분기(43.6%) 대비 0.4%포인트 확대됐다.
2위는 SK하이닉스(72억2500만 달러)로 전 분기(67억2000만 달러) 대비 매출이 7.5% 증가했다. 다만 시장 점유율은 27.2%에 그쳐 전 분기(27.9%) 대비 0.7%p 축소되며 삼성전자와 격차가 벌어졌다.
같은 기간 미국 마이크론(Micron)의 D램 매출은 54억8800만 달러에서 60억9100만 달러로 11.8% 증가했고, 점유율도 22.6%에서 22.9%로 0.3%p 높아졌다.
전 세계 3분기 D램 시장 매출은 265억6900만 달러(약 31조원)를 기록해 2분기보다 10.2% 증가했다.
트렌드포스는 "D램 가격이 3분기까지 상승했고 출하량도 함께 증가했다"며 "그 결과 D램 기업들의 매출도 늘었다"고 말했다.
트렌드포스는 상위 3개 업체들의 성장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전 분기 대비 완만해지고 있다면서 4분기부터 업체별로 성장세가 차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트렌드포스는 "올해 4분기는 D램 수요가 줄고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매출 감소는 필연적"이라면서 "공정 마이그레이션(이전) 및 수익률 개선 등에 따라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 수출입물가 11개월째 고공행진···반도체 수출가 3.5%↓
- 삼성전자, 업계 최초 'LPDDR5X' 개발···D램 기술력 초격차 가속
- "세계 D램 시장, 내년 '공급 과잉' 전환···판가 15% 하락"
- 한은 "중국경제 둔화 우려↑···對中 수출 충격은 제한적"
- 최대 실적에도 널뛰는 SK하이닉스 주가···"저점매수" vs "불확실성"
-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15.8조·매출 74조 육박 '역대최대' (종합)
-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익 4조···매출 11.8조 '분기 최대'(종합)
- SK하이닉스, HBM3 D램 최초 개발···"풀HD 영화 163편, 1초에"
- [특징주] 삼성전자, 사흘 만에 약세···6만원대 후퇴
- 삼성, 업계 최선단 14나노 D램 양산···"미세 공정 기술력 선봬"
- "SK하이닉스, 中 우시에 '반도체 단지' 조성···3700억원 공동출자"
- 삼성전자 분기 매출 73조 '새 역사'···반도체·폰 '쌍끌이'(종합)
- 삼성·LG전자, 8일 잠정실적 발표···역대급 동반 기록?
- '안정적 대형주'는 옛말···코스피 시총 상위株 '휘청'
- 外人, 이달 들어 三電 1.1조 순매수···주가 새국면 맞나
- 이원선 트러스톤운용 CIO "증시, 테이퍼링 등 3개 허들 넘어야"
- D램 가격 7개월 만에 최저···'슈퍼사이클' 전망 빗나가나
- "데이터 중심 시대, 파운드리 생태계 강화"···삼성전자 '2021 SAFE' 포럼
- 삼성전자, '국제 IoT·가전·로봇 박람회'서 스마트홈 솔루션 소개
- "SK하이닉스, 中 공장 EUV 도입 무산?···美 반대 넘어야"
- '삼성 비스포크 큐커', 호텔신라와 미식 세계 선보여
- WSJ "삼성 美 파운드리 제2공장, 테일러 확정···곧 발표"
- 삼성전자, 美 테일러시에 '20조 제2파운드리 공장' 짓는다(종합)
- SK하이닉스, 협력사와 함께 따뜻한 기부 동행
- 삼성전자도 3040 경영진 나온다···'미래지향 인사 혁신' 추진
- SK하이닉스, 곽노정·노종원 사장 승진···첫 40대 파격 발탁
- SK하이닉스, '2021년 산학연구과제 우수발명' 포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