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정부가 미국의 국내 반도체 기업 기밀 요구와 관련해 우리 기업의 우려를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국가 경제안보 차원에서 반도체 등 주요 사업에 강한 정책 지원 드라이브를 걸겠다고도 했다.
문승욱 산업통상부 장관은 5일 미국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체에 각종 기밀을 요구한 것과 관련해 "오늘 또는 내일 파리에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USTR를 만나 우리 기업 우려 사항을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장관은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벤처중소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 반도체 고객명단을 내놓으라는 것에 대한 입장'을 묻는 이장섭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말했다.
문 장관은 이어 "미국과 심도있게 토의하는 방향으로 우리 기업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며 "다른 반도체 기업의 동향 등을 우리 기업과 협의하며 공유하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 정부의 의중을 파악하고 있다"며 "한미정상간 협의 채널이 만들어진 만큼 그런 부분이 가동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문 장관은 국회 질의에 앞서 국감 모두발언을 통해 "반도체 등 국가 경제 안보 차원에서 중요한 산업들은 범국가적으로 보다 과감하고 강력한 지원을 추진하겠다"며 반도체 산업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정부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문 장관은 △선도형 경제로의 도약 △에너지 시스템 혁신으로 탄소중립 기반 마련 △글로벌 무역·통상 질서 주도 등 세 가지 방향에서 정책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문 장관은 "산업대전환을 통해 선도형 경제로 도약하겠다"며 "산업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공정 개선과 중장기·대규모 기술개발, '국가핵심전략산업 특별법' 제정 시 반도체 등 국가 경제안보 차원의 중요 산업에 대한 지원을 전폭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포스코 광양제철소, 2년 연속 최다 대기오염물질 배출 사업장"
- 김범수 카카오 의장 "케이큐브홀딩스, 사회적 책임 회사로 전환"
- 조성욱 "대한항공-아시아나 결합, 국토부와 협의 시작"
- 허은아 의원 "아동대상 디지털성착취물 4년간 4배 급증"
- 과방위 국정감사, 의원 간 정쟁에 또 '파행'
- "카카오모빌리티, 전화대리운전업체 2곳 인수 철회"
- 공정위 "대한항공-아시아나, 기업결합심사 연내 마무리"
- 한상혁 방통위원장 "온라인플랫폼 관련 법제 정비 적극 추진"
- 임혜숙 과기부 장관 "플랫폼 건전 성장 위해 균형 발전 유도"
- 과방위 국감, 대장동 특검 팻말에 시작부터 '파행'
- "이통3사, '온라인요금제' 효과 미미···가입자 0.1% 불과"
- 국정감사 증인에 김범수 등 IT업계 줄줄이 채택
- 김범수 의장, 모빌리티·카톡 선물하기 등 지적에 "거듭 죄송"
- "삼성, 온실가스 저감률 업계 최하"
- 김경훈 구글코리아 대표 "인앱결제강제 금지법 아쉽지만 사업모델 변경"
- 삼성전자 노사, 임금교섭 첫날 팽팽한 기싸움
- 삼성전자, '삼성 AI 포럼 2021' 내달 개최···"연구성과 공유"
- 한성숙 네이버 대표 "직장 내 괴롭힘 사건, 유가족·동료에 사과"
- 삼성·LG전자, 8일 잠정실적 발표···역대급 동반 기록?
- 김범수 의장 "카카오T 대리운전 수수료 내리도록 노력"
- [위투게더] 삼성전자, 협력사 우수 인재 확보 지원 앞장
- 삼성, 업계 최선단 14나노 D램 양산···"미세 공정 기술력 선봬"
- SK하이닉스, HBM3 D램 최초 개발···"풀HD 영화 163편, 1초에"
- SK하이닉스, 키파운드리 5758억원에 인수···"지분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