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D램 시장 글로벌 1위 기업인 삼성전자는 EUV(극자외선) 공정을 적용한 업계 최선단 14나노 D램 양산에 돌입했다고 12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미세공정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 지난해 3월 업계 최초로 D램 모듈 생산에 EUV 공정을 적용해 고객사들에게 공급한 바 있다. 업계에서 유일하게 EUV 멀티레이어 공정을 적용해 최선단 14나노 D램을 구현하는 등 차별화된 공정 기술력을 선보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회로를 보다 세밀하게 구현할 수 있는 EUV 노광 기술을 적용해 D램의 성능과 수율을 향상시켜 14나노 이하 D램 미세 공정 경쟁에서 확고한 우위를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삼성전자가 이날 양산에 돌입한다고 밝힌 D램은 업계에서 '10나노급 4세대(1a) D램'으로 불리는 제품으로, 삼성은 자사의 미세 공정 기술력을 강조하기 위해 '14㎚'라는 구체적인 선폭을 공개했다.
총 5개의 레이어에 EUV 공정이 적용된 삼성전자 14나노 D램은 업계 최고의 웨이퍼 집적도를 통해 이전 세대(1z) 대비 생산성이 약 20% 향상됐다. 웨이퍼 한 장에서 얻을 수 있는 D램 수량이 약 20% 증가한다는 의미다. 또 삼성전자 14나노 D램 제품의 소비전력은 이전 공정 대비 약 20% 개선됐다.
삼성전자는 이번 신규 공정을 최신 DDR5(Double Data Rate 5) D램에 가장 먼저 적용한다. DDR5는 최고 7.2Gbps의 속도로 DDR4 대비 속도가 2배 이상 빠른 차세대 D램 규격으로 최근 데이터센터, 슈퍼컴퓨터, 기업용 서버 시장 등에서 고성능 DDR5에 대한 수요가 지속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선단의 14나노 공정과 높은 성숙도의 EUV 공정기술력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성능과 안정된 수율을 구현해, DDR5 D램 대중화를 선도한다는 전략이다.
삼성전자는 고용량 데이터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이번 공정으로 단일 칩 최대 용량인 24Gb D램까지 양산할 계획이다.
이주영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D램개발실장 전무는 "삼성전자는 지난 30년간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통해 반도체 미세 공정의 한계를 극복해 왔으며 이번에도 가장 먼저 멀티레이어에 EUV 공정을 적용해 업계 최선단의 14나노 공정을 구현했다"며 "고용량, 고성능 뿐만 아니라 높은 생산성으로 5G·AI·메타버스 등 빅데이터 시대에 필요한 최고의 메모리 솔루션을 공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이통3사, 3분기에도 5G 효과 지속···영업이익 1조 예상
- [위투게더] 삼성전자, 협력사 우수 인재 확보 지원 앞장
- 삼성전자, '위드 코로나' 선제 시행···사내 방역지침 완화
- '12조 상속세' 삼성家, 부동산 이어 주식도 판다
- 삼성전자 분기 매출 73조 '새 역사'···반도체·폰 '쌍끌이'(종합)
- [속보] 삼성전자 사상 첫 분기 매출 70조원 돌파
- 삼성·LG전자, 8일 잠정실적 발표···역대급 동반 기록?
- 삼성전자, '삼성 AI 포럼 2021' 내달 개최···"연구성과 공유"
- '갤럭시Z폴드3·Z플립3' 출시 39일만에 국내 100만대 판매
- 삼성전자 노사, 임금교섭 첫날 팽팽한 기싸움
- "삼성, 온실가스 저감률 업계 최하"
- 문승욱 "美에 삼성 반도체 기밀 요구 우려 전달"
- 삼성전자 '갤럭시Z 폴드3', 제네시스 'GV60' 디지털 키로 쓴다
- [단독] 삼성, 평택에 반도체 사무동 짓는다···'R&D 허브' 강화
- 'K-반도체' 경쟁력 강화 위해 산·학·연 힘 모은다
- 삼성 "'비스포크 제트 봇 AI' 인기에 로봇청소기 매출 4배↑"
- 삼성·LG전자,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서 친환경 기술 선봬
- 삼성 하반기 공채 GSAT, 내달 6~7일 온라인 진행
- 'AI 댄스학습 플랫폼·홈브루잉 솔루션'···삼성서 5개 스타트업 독립
- 1기가 영화를 10초만에···삼성전자, '5G 업로드 속도' 신기록
- 홍남기 "美 반도체 정보 요청, 기업 자율성에 맡길 것"
- 삼성 스마트 모니터, 글로벌 판매 60만대 돌파
- 삼성, 전국기능경기대회 출전 우수인력 채용
- 삼성전자, 내달 '삼성 소프트웨어 개발자 콘퍼런스' 개최
- "세계 D램 시장, 내년 '공급 과잉' 전환···판가 15% 하락"
- 삼성전자, 3분기 D램 점유율 44%로 더 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