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25일 별세하면서 이재용 시대가 본격 열리고 이 회장의 보유지분 처리 등 지배구조 변화가 불가피하다.
이 부회장은 2014년 5월 이건희 회장이 쓰러진 이후부터 삼성을 이끌어 왔고 2018년 공정거래위원회의 동일인 지정을 통해 공식적인 총수에 올랐다.
당장 경영권 승계 및 국정농단 관련 재판과 지배구조 재편 등이 이 부회장이 마주한 우선 과제로 꼽힌다.
이 회장이 보유한 지분은 삼성전자 2억4927만3200주(지분율 4.18%), 삼성전자 우선주 61만9900주(0.08%), 삼성SDS 9701주(0.01%), 삼성물산 542만5733주(2.86%), 삼성생명 4151만9180주(20.76%) 등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이 회장이 보유한 주식 평가액은 23일 종가 기준으로 18조2251억원이다. 이들 4개 계열사 지분 상속에 대한 상속세는 최대주주 할증까지 적용해 10조6000억원 상당이 된다.
재계 일각에서는 분할납부 또는 사회 공헌 차원에서 일부 환원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한다.
지배구조와 관련해 이 부회장은 지난 5월 경영권 승계 의혹과 노조 문제 등에 대한 대국민 사과에서 "경영권 승계 문제로 더 이상 논란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것"이라며 "제 아이들에게 회사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을 생각"이라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삼성 지배구조와 맞물린 보험업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고 이 부회장 재판이 진행중으로 지배구조를 재편하는 데는 상당한 시일이 예상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재계 큰 별 지다···'글로벌 삼성' 일군 이건희 회장 별세 (종합)
- [이건희 별세] "변하지 않으면 영원히 2.5류"···그가 남긴 '말'
- [이건희 별세] 주식재산 18조···상속세 10조 규모 이를 듯
- [이건희 별세] 경제계 "깊은 애도···불굴의 도전·혁신정신 계승"
- [포토] 삼성서울병원 엄격한 통제 속 성윤모 장관 조화
- [이건희 별세] '삼성생명법' 지배구조 핵심변수로 떠오르나
- [이건희 별세] 이재현, 빈소 방문···"자랑스러운 작은 아버지"
- 개미, 이달들어 1.3조 매도···'양도세發 투매' 확대 우려
- '상주' 이재용 부회장, 오늘 '국정농단' 재판 불출석할 듯
- [이건희 별세] 삼성 임직원, '사내 온라인 추모관' 통해 조문 행렬
- '상주' 이재용 없이 파기환송심 재개···재판부-특검 신경전
- [재계25시] '빅4' 총수 '애스톤' 동맹은 계속된다···'3·4세' 교류 강화
- 삼성SDS, 개발자 콘퍼런스 '테크토닉 2020' 개최
- 삼성SDS '브라이틱스 IoT' 국내 첫 '가트너 매직쿼드런트' 등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