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서울파이낸스DB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25일 별세하면서 이재용 시대가 본격 열리고 이 회장의 보유지분 처리 등 지배구조 변화가 불가피하다.

이 부회장은 2014년 5월 이건희 회장이 쓰러진 이후부터 삼성을 이끌어 왔고 2018년 공정거래위원회의 동일인 지정을 통해 공식적인 총수에 올랐다.

당장 경영권 승계 및 국정농단 관련 재판과 지배구조 재편 등이 이 부회장이 마주한 우선 과제로 꼽힌다.

이 회장이 보유한 지분은 삼성전자 2억4927만3200주(지분율 4.18%), 삼성전자 우선주 61만9900주(0.08%), 삼성SDS 9701주(0.01%), 삼성물산 542만5733주(2.86%), 삼성생명 4151만9180주(20.76%) 등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이 회장이 보유한 주식 평가액은 23일 종가 기준으로 18조2251억원이다. 이들 4개 계열사 지분 상속에 대한 상속세는 최대주주 할증까지 적용해 10조6000억원 상당이 된다.

재계 일각에서는 분할납부 또는 사회 공헌 차원에서 일부 환원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한다.

지배구조와 관련해 이 부회장은 지난 5월 경영권 승계 의혹과 노조 문제 등에 대한 대국민 사과에서 "경영권 승계 문제로 더 이상 논란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것"이라며 "제 아이들에게 회사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을 생각"이라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삼성 지배구조와 맞물린 보험업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고 이 부회장 재판이 진행중으로 지배구조를 재편하는 데는 상당한 시일이 예상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