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수출제한 3대 품목을 포함해 주력산업과 차세대 신산업 공급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100개 전략적 핵심품목을 선정, 집중적으로 투자해 5년 내 공급안정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일본 수출규제 대응 관계장관회의 모두 발언에서 "대외의존형 산업구조 탈피를 위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해 우리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항구적인 경쟁력을 반드시 업그레이드 하겠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전략적 핵심품목에 대해 기술개발, 신뢰성과 양산평가를 최대한 신속히 진행되도록 집중 지원하겠다"고 부연했다.
총 부총리는 "국내에서 신속한 기술개발이 가능한 분야는 재정, 세제, 금융,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해외에서 기술도입이 필요한 분야는 인수합병(M&A)·벤처캐피탈(VC) 지원, 대규모 펀드 조성과 투자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전문기술을 확보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술개발 등 꼭 필요한 경우로 인정되는 경우 환경절차 패스트트랙 적용, 특별연장 근로 인가와 재량근로 활용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며 "핵심 기술개발(R&D) 과제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와 예비타당성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테스트베드 등 인프라를 획기적으로 확대해 민간기업이 생산과정에서 활용토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내년 日 규제대응 예산 '1조+α'…당정청, 범정부 경쟁력委 구성
- [전문] 홍남기 경제부총리,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정부 합동브리핑
- 홍남기 "우리도 日 '백색국가' 제외...내주 159개 품목 대책 발표"
- 홍남기 부총리 "日, 수출 규제 철회하고 협의에 나서야"
- 금융위 "日 신용장 보증 제한해도 영향 미미"
- 對日 공조 위해 文-재계 광복절 전 만남 성사될까
- 최태원 회장 "日 경제보복, 흔들림 없이 슬기롭게 대처하자"
- 방기선 기재부 차관보 "시장 불안 과도하면 적극 대응"
- 日 경제 보복, 삼성 이재용·SK 최태원의 메시지는···
- 日 대응 'M&A 금융협의체' 이달말 출범
- 이주열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시장 안정화 총력"
- '日 대응' 관광업계의 쓴소리···"민간·청소년 교류 막는 건 자제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