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한미약품그룹은 원료의약품 자회사 한미정밀화학을 국립보건연구원이 현장 검증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전령RNA) 핵심 원료 6종 합성 성공 기술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한미정밀화학이 지난해 말부터 연구에 착수해 최근 개발에 성공한 mRNA 핵심 원료 6종의 대량생산 가능성을 확인했다. 그는 한미정밀화학에 지속적인 연구개발(R&D) 역량을 축적해 국가 백신주권 확보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는 권 원장에게 실질적으로 한미약품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당장 mRNA 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월별 생산량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한미약품은 12개월 내 최대 3억도스 분량의 원료를 즉시 공급할 수 있는 유일한 회사이며, 세계 공급 부족 상황에 놓인 mRNA 핵심 원료를 신속히 공급할 수 있다"고 했다.
한미약품그룹은 한미사이언스가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추진하는 세계 백신 공급을 위한 지역별 허브 구축 공모에 참여하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5월 한미정상회담에서 합의된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Kor US Global Vaccine Partnership) 일환으로, WHO와 코로나19 백신 공동 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한 세계 백신 공급 대량생산 기지 구축 프로젝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초점] 'K-mRNA' 컨소시엄 백신 3총사 무기는?
- 토종 제약사, 코로나 백신 개발 '맞손'···"내년까지 1억도스 목표"
- 에스티팜, 포스텍과 mRNA 백신 대량생산 자문 협약
- [하반기 경제] 글로벌 백신허브 구축···추경에 피해보상 예산 반영
-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 나선 토종 제약사
- 에스티팜,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 본격화
- 삼바 위탁생산 모더나 백신, '국내 우선' 공급될까
- 삼양홀딩스, 엠큐렉스와 mRNA 코로나19 백신 공동개발
- 에스티팜, 스위스 제네반트서 코로나19 mRNA 백신 기술 도입
- 에스티팜, 이화여대와 '지질나노입자' 플랫폼 기술 개발 추진
- 모더나·화이자 코로나19 백신 뭐가 다를까
- 제테마, 원주공장서 스푸트니크 백신 위탁생산 추진
- 식약처, 이노엔 코로나19 백신 임상 1상 시험계획 승인
- 한미약품·레고켐바이오, 이중항체 ADC 항암신약 공동개발
- 식약처, 모더나 백신 접종연령 확대 검토
- 셀트리온, 차세대 mRNA 백신 플랫폼 개발 착수
- 한미약품, 임성기 창업주 추모식 열어 '제약강국' 다짐
- 에스티팜, 테라젠바이오와 mRNA 항암백신 개발 협약
- 툴젠, 엠큐렉스와 mRNA 유전자치료제 공동개발
- 동아ST·이셀, '차세대 K-mRNA 백신' 컨소시엄 합류
- 한미약품 "펜탐바디 항암신약 중국 임상서 가능성 확인"
- 한미사이언스, 영국 옥스퍼드대와 감염병 대응 협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