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동아쏘시오그룹 원료의약품 계열사 에스티팜이 스위스 제약사 제네반트 사이언스로부터 코로나19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과 상업화에 필요한 지질 나노 입자(LNP) 약물 전달체 기술을 도입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8일 밝혔다.
계약에 따라 에스티팜은 한국,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12개국에서 제네반트의 LNP 약물전달체 기술로 코로나19 mRNA 백신을 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는 비독점적 권리를 확보했다. 에스티팜은 제네반트에 계약금과 기술이전 비용을 포함해 코로나19 백신 상업화에 따른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으로 최대 1억3375만달러(1496억원)를 지불한다.
에스티팜에 따르면 제네반트의 LNP 약물 전달체 기술은 임상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됐다. 에스티팜은 이 기술로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과 상용화를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에스티팜은 mRNA 합성과 항체 생성에 핵심적인 기술인 5프라임-캐핑(5'-Capping) 기술과 LNP 약물 전달체 기술을 갖고 있다. 국내에서 특허출원을 완료하고 글로벌 특허를 준비 중이다.
에스티팜은 mRNA 대량생산을 위한 전용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공장을 증설하고 있다. 완공되면 화이자·바이오엔테크의 코로나19 백신 기준 연간 240만 도스의 mRNA 원료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연간 1억2000만도스 규모의 설비 증설도 검토 중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에스티팜, 미국에 신약개발전문 바이오벤처 설립
- 에스티팜, 이화여대와 '지질나노입자' 플랫폼 기술 개발 추진
- 식약처, 화이자 백신 품목허가···16세이상 접종
- 식약처, 화이자 백신 품목허가 3월 첫주 내 완료
- 화이자 코로나 백신 특례수입 승인···의료인 접종물량
- 식약처, 코로나19 백신 국가출하승인 20일내 단축
- 에스티팜, 유전자 치료제·백신 CDMO 도전
- 종근당 '나파벨탄' 코로나19 치료제 임상3상 시험 승인
- 삼양홀딩스, 엠큐렉스와 mRNA 코로나19 백신 공동개발
- 식약처 "LDS주사기 이물 신고 4건···인체 혼입 없어"
- 식약처, 화이자 백신 접종연령·유통방식 허가변경 심사
- 에스티팜,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 본격화
- GC녹십자·목암연구소, 알지노믹스와 RNA 신약 개발 협약
- 국립보건연구원, 한미약품 mRNA 기술 현장 검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