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동아쏘시오그룹 원료의약품 계열사 에스티팜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지질나노입자(LNP) 방식을 적용한 코로나19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을 본격화한다. 1일 에스티팜은 LNP 약물 전달체 방식을 적용한 코로나19 mRNA 백신 후보물질 3종을 선정해 본격적으로 개발한다고 밝혔다.
에스티팜은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에 성공한 모더나와 화이자가 사용하는 LNP 기술을 지난달 제네반트 사이언스에서 도입한 바 있다. 에스티팜은 mRNA 합성과 항체 생성에 핵심적인 기술인 5프라임-캐핑(5'-Capping) 기술을 적용해 변이 바이러스에도 대응할 수 있는 자체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에 나섰다.
에스티팜은 후보물질에 숙주 세포와 결합하는 바이러스 돌기인 스파이크 단백질 항원 외에도 제2항원을 보강하고, 면역세포인 T세포의 반응을 높일 수 있는 펩타이드 조각인 T세포 에피토프(Epitope)를 추가했다.
현재 에스티팜은 후보물질 22개를 발굴해 이중 3종(STP2104, STP2108, STP2120)을 선정했다. 최종 후보물질이 결정되면 올해 안에 임상 1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내년 상반기에는 국내에서 정식 품목허가 전 사용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다.
지난달 말에는 mRNA 전용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설비를 완공하고 백신 생산을 위한 시생산을 하고 있다.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기준 연간 1억도스 넘는 양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의 추가 증설을 검토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삼바 위탁생산 모더나 백신, '국내 우선' 공급될까
- 삼성바이오로직스, 3분기부터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 식약처, 모더나 백신 허가···4000만회분 구매계약
- 화이자 백신 2천만명분 추가 계약···"연내 9900만명분 확보"
- 삼양홀딩스, 엠큐렉스와 mRNA 코로나19 백신 공동개발
- 에스티팜, 스위스 제네반트서 코로나19 mRNA 백신 기술 도입
- 에스티팜, 미국에 신약개발전문 바이오벤처 설립
- 에스티팜, 이화여대와 '지질나노입자' 플랫폼 기술 개발 추진
- 식약처, 화이자 백신 품목허가···16세이상 접종
- 항공·여행株, 백신 보급 본격화에 '들썩'···더 오를까?
- GC녹십자·목암연구소, 알지노믹스와 RNA 신약 개발 협약
- 대웅제약, 디앤디파마텍과 펩타이드·단백질 경구제 개발
- 에스티팜, 포스텍과 mRNA 백신 대량생산 자문 협약
- 국립보건연구원, 한미약품 mRNA 기술 현장 검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