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대한항공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화물 운송량이 급증하자 미주 동부 화물 노선에 처음으로 중거리용 항공기를 투입했다.
14일 대한항공에 따르면 중거리 노선 여객기인 에어버스(AIRBUS)사의 A330 기종은 이달부터 미국 뉴욕과 캐나다 토론토 노선에서 화물 전용 여객기로 주 3회 운항되고 있다.
화물 전용 여객기란 여객을 태우지 않고 화물만 싣고 운항하는 항공기를 말한다. 현재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속 국제선 여객 노선이 대부분 중단되면서 화물 전용 여객기 운항이 증가하고 있다.
앞서 대한항공이 미주 노선에 투입하고 있는 화물 전용 여객기는 최대 운항 거리가 1만3000㎞로, 한 번에 비행이 가능한 보잉(Boeing)의 B777, B787 등 장거리 전용 항공기다.
이에 반해 A330은 B777 등 기종에 비해 탑재량도 적고 최대 운항 거리가 9500㎞밖에 되지 않아 인천에서 미국 동부까지 한 번에 비행할 수 없다. 따라서 미국 알래스카 앵커리지에 착륙 후 급유와 점검을 받은 뒤 다시 최종 목적지인 동부 도시(뉴욕, 토론토 등)로 향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중간 기착 비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A330의 경우 기존 동남아, 중국, 일본 노선 등 중거리 노선에 투입됐으나 화물량이 급증하면서 화물기를 더 운항해야하는 상황이라 미주 동부 화물노선에 투입을 결정하게 된 것"이라며 "화물 운송 공급 확대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대한항공은 여객기 777-300ER 9대의 좌석을 제거해 캐빈과 화물칸에 화물을 싣는 등 화물기 전체를 가동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맞춰 일부 여객기 조종사를 대상으로 화물기 기종 전환 교육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제선 항공화물 물동량은 78만 6396t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66만4883t) 대비 약 18.3% 증가했으며, 2001년 인천공항 개항 이후 1분기 물동량 실적 중 역대 최고치다. 국경 간 전자상거래 물품과 의약품 등 신성장 화물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는 데다 경기 회복세까지 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관계자는 "화물 운송 강화를 통해 수출기업들의 어려움도 다소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코로나19 방역 물품 수요도 늘어나고 있어 이를 적기에 수송키 위한 공급 추가 확보에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 원화 강세에도 반도체 빛났다···수출물가 5개월 연속 상승
- 한국조선해양, LPG선 2척 1830억원에 수주
- 삼성SDS, 중소 수출기업 위한 IT 플랫폼 기반 물류 서비스 공개
- HMM, 미주 노선 임시선박 3척 추가 투입
- 삼성디스플레이, '초고해상도 산화물 TFT 개발' 주관 기업 선정
- SM상선 "연내 증시 입성···노선확장·ESG경영 강화"
- [인터뷰] 최영욱 상상인선박기계 대표 "세계 최초 LNG선 개조···불가능이란 없다"
- 1분기 경상수지 228.2억달러 흑자···4월 적자 가능성 (종합)
- 韓 조선업계, 올들어 세계 LPG선 발주량 75% 수주···LNG선 이어 '싹쓸이'
- [CEO&뉴스] 한국조선해양 가삼현號가 이끄는 'ESG경영'
- [초점] 항공사 1분기 실적···LCC '늪', 대한항공 '절반의 성공'
- 아시아나항공, A350-900 여객기 2대 화물기 추가개조
- 대한항공, 지난해 영업익 2283억원···코로나 속 선방
- 아시아나항공, 반도체 실은 새해 첫 수출 화물기 띄웠다
- 대한항공 "아시아나 통합 후 정비 별도법인 설립, 사실아냐"
- 화물 효자노릇 '톡톡'···대한항공, 1Q 영업익 1245억원 '흑자전환' (종합)
- "대한항공, 항공 화물 수요 강세 지속 전망"-DB금융투자
- 항공업계 실적 '희비'···대한항공 '방긋'·아시아나 '안도'·LCC '초토화'
- 대한항공, A330 6대 기내좌석 제거···화물사업 강화 '총력'
-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 '순항'···대만도 기업결합심사 승인
